지난100년의 역사동안 한국사회에서 치열하게 벌어졌던 사상,이념의 논쟁을 정리한 책.

일제 식민시기로부터 1970년이후까지 3단계로 나눠 <개화파 사상과 근대국가 건설론>을 시작으로 <토지개혁과 농지개혁>,<민중과 민중사학>,<박정희 신드롬>까지 56편의 논쟁 수록


001. [일제식민지 시기]
002. 개화파 사상과 근대국가 건설론
003. 단발과 근대성
004. \'대한제국\' 평가 논쟁
005. 을사조약 \'불성립\'론
006. 개신교와 전통사상의 충돌
007. \'김윤식 사회장\' 파동
008. 물산장려운동과 민족주의, 사회주의
009. 임시정부 창조론, 개조론
010. 이승만의 독립운동론
011. 이광수 \'민족성개조\'의 민족성 여부
012. 사회주의자들의 방향전환론과 정우회 선언, 신간회
013. 1920년대 중반 프로문학 논쟁
014. 만주지역 민족유일당 결성론
015. 국제공산당의 일국일당 원칙이 미친 파장
016. 재일조선인 민족해방운동의 방향전환 논쟁
017. 만주동포의 국적문재와 정체성
018. 1930년대 \'조선학\' 논쟁
019. 일제시기 단군 논쟁
020. 1930년대 한의의 근대성, 과학성 논쟁
021. 신사참배와 우상숭배
022. [해방-1960년대]
023. 우익의 반탁 주장과 좌익의 \'모스크바삼상회의결정\'지지
024. \'국대안\' 파동
025. 토지개혁과 농지개혁
026. 해방직후 민족문학 논쟁
027. 한국전쟁기 도강파와 잔류파
028. 북한에서의 노동조합 독자성 논쟁
029. 북한의 농업협동화와 중공업 우선 노선을 둘러싼 논쟁
030. 북한문학의 도식주의 논쟁
031. 북한 역사학계의 \'조세근세사\' 시기구분 논쟁
032. 정비석의 \'자유부인\'을 둘러싼 공방
033. 이승만과 한글간소화 파동
034. 1950년대 비구와 대처승의 갈등
035. 평화통일론과 진보당사건
036. 1958년 국가보안법 개정 파동(24파동)
037. 경제개발계획을 둘러싼 공방
038. 4월혁명기 중립화통일론과 남북협상론
039. 한일회담 반대 파동
040. 1960년대의 순수, 참여 논쟁
041. 베트남 파병
042. 중산층, 중소기업 논쟁
043. 고속도로와 지역불균등 발전
044. [1970년대 이후]
045. \'한국적 민주주의\'와 유신체제
046. 1970년대 청년문화론
047. 무시험입시제도와 평준화
048. 국정 국사교과서 비판
049. 역사연구에서 \'현재성\' 논쟁
050. 민중과 민중사학
051. 김일성 가짜설
052. 6월항쟁 시기 NL-CA논쟁
053. 1987년 대통령선거에서의 비판적지지, 후보단일화, 독자후보론
054. 1987년 이후 교원노조결성을 둘러싼 공방
055. 노동운동에서 제3자개입 문제
056. 노동자의 정치참여 논쟁
057. 보안감호처분
058. 사형제도 존폐 논쟁
059. 박정희 신드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