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플래그십 정치학”은 정치학의 수험에서 ‘기함(Flagship)’ 역할을 하고자 기획한 책이다. 수험적으로 정치학은 범위가 넓고, 다양한 이론과 논리가 필요한데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이 많지 않다는 조건을 가진 과목이다. 수험생들이 정치학을 어려워하는 가장 큰 이유는 한마디로 “정리가 안 된다.”는 점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이 책은 정치학 전체를 ‘넓게’ 다루면서 ‘핵심요약’을 통해 ‘정리’하고자 하는 책이다. 즉 넓고 안전하게 공부하는 것이다.

목차
제1부 총론

제1장 방 법 론


방법론 쟁점 1: 정치학의 perspective 합리적 선택이론
방법론 쟁점 2: 양적 접근과 질적 접근
방법론 쟁점 3: 일치법과 차이법
방법론 쟁점 4: 분석 수준

제2장 환경변화

환경변화 쟁점 1: 세계화
환경변화 쟁점 2: 지역주의
환경변화 쟁점 3: 정보통신혁명
환경변화 쟁점 4: 젠더
환경변화 쟁점 5: 환경정치

제3장 정치학의 분석도구

정치학의 분석도구 쟁점 1: 권력 개념
정치학의 분석도구 쟁점 2: 권력의 분포
정치학의 분석도구 쟁점 3: 정치적 리더십
정치학의 분석도구 쟁점 4: 정치문화
정치학의 분석도구 쟁점 5: 국가와 정부
정치학의 분석도구 쟁점 6: 주권과 거버넌스
정치학의 분석도구 쟁점 7: 민족과 민족주의

제2부 민주주의의 조건들

1. 정치사상

제1장 정치사상 일반


정치사상 쟁점 1: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정치사상 쟁점 2: 마키아벨리 평가
정치사상 쟁점 3: 사회계약론자 홉스
정치사상 쟁점 4: 사회계약론자 로크
정치사상 쟁점 5: 사회계약론자 루소
정치사상 쟁점 6: 자유주의자 칸트
정치사상 쟁점 7: 권력분립이론
정치사상 쟁점 8: 자유주의 공동체주의 논쟁

제2장 자유주의이론

정치사상 쟁점 9: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와 공화주의 관계
정치사상 쟁점 10: 자유주의와 민주주의 간 관계
정치사상 쟁점 11: 경제적 자유주의와 정치적 자유주의
정치사상 쟁점 12: 자유지상주의(libertarianism)
정치사상 쟁점 13: 정치적 자유주의자 롤즈
정치사상 쟁점 14: 자유주의에서 다수결주의
정치사상 쟁점 15: 자유의 분화: 소극적 자유 vs. 적극적 자유
정치사상 쟁점 16: 평등의 분화: 형식적 평등 vs. 실질적 평등
정치사상 쟁점 17: 자유주의에 대한 대응: 보수주의
정치사상 쟁점 18: 인권의 보편성과 인도적 개입
정치사상 쟁점 19: 법치주의와 다른 수단에 의한 정치

제3장 공화주의

정치사상 쟁점 20: 공화주의의 분류: 강한 공화주의 vs. 약한 공화주의
정치사상 쟁점 21: 공동체주의의 의미
정치사상 쟁점 22: 토크빌의 자유와 평등 간 관계
정치사상 쟁점 23: 한나 아렌트의 공화주의
정치사상 쟁점 24: 신로마 공화주의
정치사상 쟁점 25: 동양의 정치이론
정치사상 쟁점 26: 다문화주의의 방향
정치사상 쟁점 27: 복지정책의 필요성
정치사상 쟁점 28: 사법의 정치화

2. 국제정치

제1장 현실주의


국제정치 쟁점 1: 왈츠의 분석수준
국제정치 쟁점 2: 투키디데스의 함정
국제정치 쟁점 3: 지정학 경쟁
국제정치 쟁점 4: 세력균형이론
국제정치 쟁점 5: 안보딜레마와 전쟁 가능성
국제정치 쟁점 6: 동맹안보딜레마와 전쟁가능성
국제정치 쟁점 7: 극성과 국제정치 안정성 간 관계
국제정치 쟁점 8: 세력균형의 대안으로 위협균형과 이익균형
국제정치 쟁점 9: 상대적 국력과 안보외부효과 이론
국제정치 쟁점 10: 신현실주의와 신자유주의 협력가능성
국제정치 쟁점 11: 저비스의 안보딜레마 완화 정책
국제정치 쟁점 12: 미중 패권경쟁과 세력전이 가능성
국제정치 쟁점 13: 방어적 현실주의와 공격적 현실주의 안보정책
국제정치 쟁점 14: 신고전현실주의와 안보정책
국제정치 쟁점 15: 민주화 과정의 위험성
국제정치 쟁점 16: 연성균형과 경성균형 비교

제2장 자유주의

국제정치 쟁점 17: 지역 통합 가능성
국제정치 쟁점 18: 앨리슨 모형
국제정치 쟁점 19: 양면게임모형
국제정치 쟁점 20: 상호의존이론과 미중 디커플링 가능성
국제정치 쟁점 21: 상호주의와 남북관계 개선 가능성
국제정치 쟁점 22: 제도주의 이론과 동북아시아 다자협의체 가능성
국제정치 쟁점 23: 민주평화이론과 동북아시아 안정성
국제정치 쟁점 24: 청중 비용의 논리
국제정치 쟁점 25: 구성주의와 남북관계 변화 가능성

제3장 국제정치 현안

국제정치 쟁점 26: 연성권력과 스마트권력의 한국적 의미
국제정치 쟁점 27: 한국의 중견국가 외교
국제정치 쟁점 28: 핵확산과 안정성 평가
국제정치 쟁점 29: 직접억지와 확장억지
국제정치 쟁점 30: 자치 안보교환모형과 한미동맹의 특성
국제정치 쟁점 31: 군비통제의 의미와 가능성
국제정치 쟁점 32: 전통안보와 비전통안보
국제정치 쟁점 33: 인간안보
국제정치 쟁점 34: 국제기구와 글로벌 거버넌스(구조적 자유주의)
국제정치 쟁점 35: 보호무역과 자유무역
국제정치 쟁점 36: 유럽과 동아시아 지역 통합 수준 비교
국제정치 쟁점 37: 삼중고(Trillemma)와 빈번한 금융위기
국제정치 쟁점 38: 글로벌 불균형의 해결방안
국제정치 쟁점 39: 인권 문제
국제정치 쟁점 40: 문화 관련 주제들
국제정치 쟁점 41: 코로나19 이후

3. 정치경제

제1장 정치경제학

정치경제 쟁점 1: 국가이론과 자율성 차이
정치경제 쟁점 2: 한국의 대안 모델 탐색: 코포라티즘과 케인즈주의
정치경제 쟁점 3: 국가의 개입과 시장의 자율성관계 모델
정치경제 쟁점 4: 경로의존성과 자본주의 다양성 논쟁
정치경제 쟁점 5: 국가와 시장과 시민사회 간 역할
정치경제 쟁점 6: 사회적 기업의 역할
정치경제 쟁점 7: 시장 실패론 vs. 국가 실패론
정치경제 쟁점 8: 워싱턴 컨센서스 vs. 베이징 컨센서스
정치경제 쟁점 9: 자본주의와 민주주의의 관계
정치경제 쟁점 10: 세계화와 민주주의
정치경제 쟁점 11: 무역 결정 요인: 수요, 제도, 공급측면
정치경제 쟁점 12: 요소이동성과 무역의 국내적 효과
정치경제 쟁점 13: 동아시아 수출지향발전전략
정치경제 쟁점 14: 다국적 기업의 투자와 규제
정치경제 쟁점 15: 한국의 공적 개발원조 정책

제3부 민주주의

제1장 민주주의의 의미와 역사


민주주의 쟁점 1: 절차적 정의(최소강령) vs. 실질적 정의(최대강령)
민주주의 쟁점 2: 링컨의 민주주의 3대 공식
민주주의 쟁점 3: 고전적 민주주의의 현대적 의미
민주주의 쟁점 4: 방어적 민주주의의 현대적 의미
민주주의 쟁점 5: 발전민주주의의 현대적 의미
민주주의 쟁점 6: 엘리트주의의 현대적 의미
민주주의 쟁점 7: 불확실성의 제도화 vs. 전환가능성의 의미
민주주의 쟁점 8: 민주주의와 비민주주의 구분
민주주의 쟁점 9: 준민주주의와 경쟁적 권위주의의 구분
민주주의 쟁점 10: 로버트 달의 다두정(Polyarchy)
민주주의 쟁점 11: 민주주의 평가 기준과 필립 슈미터 기준

제2장 제도로서 민주주의

민주주의 쟁점 12: 대의민주주의의 등장과 운영 원리와 장단점
민주주의 쟁점 13: 다수결주의 vs. 협의주의
민주주의 쟁점 14: 직접 민주주의와 민중주의의 우려
민주주의 쟁점 15: 참여 민주주의의 장단점
민주주의 쟁점 16: 결사체 민주주의의 장단점
민주주의 쟁점 17: 심의민주주의의 장단점
민주주의 쟁점 18: 전자민주주의의 장단점

제3장 민주주의의 확산과 공고화 의미

민주주의 쟁점 19: 민주주의 이행과 공고화
민주주의 쟁점 20: 민주주의의 질적 상승
민주주의 쟁점 21: 민주주의 위기론
민주주의 쟁점 22: 부분체계 접근법
민주주의 쟁점 23: 민주주의 공고화를 위한 정부형태
민주주의 쟁점 24: 민주주의 공고화를 위한 정당체계
민주주의 쟁점 25: 민주주의 공고화를 위한 선거제도
민주주의 쟁점 26: 민주주의 공고화를 위한 의회제도
민주주의 쟁점 27: 민주주의 공고화와 경제적 조건
민주주의 쟁점 28: 민주주의 공고화를 위한 정치문화
민주주의 쟁점 29: 민주주의 공고화를 위한 리더십
민주주의 쟁점 30: 민주주의 공고화를 위한 시민사회역할
민주주의 쟁점 31: 민주주의 공고화를 위한 법치주의와의 관계

제4부 비교정치

제1장 권력구조와 정부형태


정부형태 쟁점 1: 정부형태 비교
정부형태 쟁점 2: 한국에 적합한 정부형태
정부형태 쟁점 3: 제도 간 조응성, 정치 효율성, 정치 안정성 차원 비교
정부형태 쟁점 4: 정부형태와 의회관계
정부형태 쟁점 5: 정부형태와 정당체계 관계
정부형태 쟁점 6: 단방주의와 연방주의 차이

제2장 의회 제도

의회 쟁점 1: 의원정수와 대표성 문제
의회 쟁점 2: 국회의원 선거제도
의회 쟁점 3: 낮은 신뢰도의 원인과 극복방안
의회 쟁점 4: 국회의원 역할과 역할 간 모순
의회 쟁점 5: 의회기능 일반화
의회 쟁점 6: 국회의원의 사회경제적 배경
의회 쟁점 6-1: 의회 원구성
의회 쟁점 7: 법률안 심사과정과 그 특징
의회 쟁점 8: 행정입법과 통제기능
의회 쟁점 9: 예산결산 심사과정
의회 쟁점 10: 국정감사, 국정조사와 대정부 질문의 역할
의회 쟁점 11: 대의민주주의의 기능
의회 쟁점 12: 의회의 대외정책에 대한 권한
의회 쟁점 13: 단원제 의회와 양원제 의회
의회 쟁점 14: 전환의회와 무대의회
의회 쟁점 15: 본회의 중심주의와 상임위원회 중심주의
의회 쟁점 16: 상임위원회의 기능강화 방안
의회 쟁점 17: 의회 입법지원기구
의회 쟁점 18: 의회 제도화
의회 쟁점 19: 국회의장의 정치적 중립성
의회 쟁점 20: 대통령제에서 의회와 대통령 간 관계
의회 쟁점 21: 의회와 행정부 간 관계
의회 쟁점 22: 정당(체계)과 의회 관계
의회 쟁점 23: 국회와 지역구 활동
의회 쟁점 24: 시민사회와 이익집단과 의회와의 관계

제3장 정당정치

정당정치 쟁점 1: 정당의 국가별 기원
정당정치 쟁점 2: 정당의 기능
정당정치 쟁점 3: 키(V.O. Key)의 정당 역할 3가지
정당정치 쟁점 4: 정당 모델의 역사적 변화
정당정치 쟁점 5: 정당체계 수준의 제도화
정당정치 쟁점 6: 개별정당 제도화
정당정치 쟁점 7: 정당의 조직 이론
정당정치 쟁점 8: 사르토리의 정당체계 이론
정당정치 쟁점 9: 다운즈(A. Downs)의 공간경쟁모델
정당정치 쟁점 10: 립셋 로칸의 결빙명제
정당정치 쟁점 11: 레이파트의 사회균열과 교차 여부
정당정치 쟁점 12: 사회균열과 기능론과 동원론
정당정치 쟁점 13: 강원택 교수님 정당론 주요내용
정당정치 쟁점 14: 탈산업화와 정당정치 변화 양상
정당정치 쟁점 15: 정당정치의 분극화
정당정치 쟁점 16: 한국의 지역주의
정당정치 쟁점 17: 원내정당과 대중정당 논쟁
정당정치 쟁점 18: 정당연합과 정당분당
정당정치 쟁점 19: 유권자 정당
정당정치 쟁점 20: SNS와 정당정치의 변화 여부
정당정치 쟁점 21: 정당 민주화와 경선제도
정당정치 쟁점 22: 정당위기론

제4장 선거제도

선거정치 쟁점 1: 선거의 기능
선거정치 쟁점 2: 대의민주주의를 위한 선거 요건
선거정치 쟁점 3: 선거구의 크기와 획정 방식
선거정치 쟁점 4: 선거제도와 정당정치
선거정치 쟁점 5: 선거제도와 선거전략
선거정치 쟁점 6: 선거제도와 유권자와 당선자 간 관계
선거정치 쟁점 7: 여성할당제와 여성의원 비율의 관계
선거정치 쟁점 8: 대표의 자율성 모델
선거정치 쟁점 9: 투표(참여)결정 요인
선거정치 쟁점 10: 투표 관련 이론들
선거정치 쟁점 11: 투표율
선거정치 쟁점 12: 회고적 투표와 전망적 투표
선거정치 쟁점 13: 당선자 결정방식
선거정치 쟁점 14: 혼합선거제도 비교
선거정치 쟁점 15: 한국 대통령 선거제도의 문제점
선거정치 쟁점 16: 한국 국회의원 선거의 문제점
선거정치 쟁점 17: 듀베르제 법칙
선거정치 쟁점 18: 선거제도 개편과 그 효과

제5장 이익집단과 시민사회

이익집단 쟁점 1: 이익집단과 시민사회 관계
이익집단 쟁점 2: 이익집단 등장이론
이익집단 쟁점 3: 만수르 올슨의 집단행동이론
이익집단 쟁점 4: 이익집단의 순기능과 역기능
이익집단 쟁점 5: 이익집단과 결사체 민주주의의 대의민주주의 대체가능성
이익집단 쟁점 6: 다원주의와 코포라티즘
시민사회 쟁점 7: 하버마스의 시민사회이론
시민사회 쟁점 8: 필립 슈미터의 시민사회이론
시민사회 쟁점 9: 4분 모델과 시민사회
시민사회 쟁점 10: 정치사회화
시민사회 쟁점 11: 정치 무관심
시민사회 쟁점 12: 신사회운동과 제도정치 진입
시민사회 쟁점 13: 참여민주주의의 대의민주주의 대체 가능성
시민사회 쟁점 14: 한국의 ‘운동에 의한 정치’
여론 쟁점 15: 여론조사 방식
여론 쟁점 16: 전통미디어와 뉴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