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 책소개
《2025 김은진 스페듀(Special Education) 기출분석집》 시리즈는 특수교사를 꿈꾸는 임용 수험생들의 효과적인 학습을 돕기 위해 집필되었다. 시리즈 4권인 본 교재는 특수교육공학, 행동지원, 특수교육평가 총 세 가지 파트로 구성되었다.

합격생들은 입을 모아 기출문제 분석의 중요성을 말하곤 한다. 이는 방대한 특수교육학 이론에서 중요한 개념만이 문제로 출제되기 때문으로, 기출문제를 잘 분석한다면 학습과 암기의 부담을 덜 수 있을 뿐 아니라 앞으로 출제될 문제의 방향이나 방식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출문제 분석의 중요성을 알고 있으면서도, 막상 기출문제를 어떻게 분석해야 하는지 몰라 막막함을 느낀 수험생들도 많을 것이다. 이에 본 교재는 단순히 기출문제를 나열해 놓은 문제집이 아닌, 해당 기출문제의 출제 포인트나 오답 등을 친절하게 안내하는 ‘기출 분석집’을 목표로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첫째, 2009~2024학년도 유아·초등·중등 특수교육학 기출문제를 빠짐없이 담고자 하였다. 누적된 기출문제는 키워드별로 정리하여 수험생이 방대한 기출문제를 단계적으로 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기본이론서와의 연계 학습을 위하여 기본이론서와 동일한 파트 및 순서로 구성하였다. 여기에 수험생들이 관련 이론을 찾는 데 들이는 시간을 아낄 수 있도록 각 기출문제의 좌측 상단에 기본이론서의 관련 페이지를 ‘참고자료’로 제시하였다.

셋째, ‘참고자료-키워드-구조화 틀-핵심개념’으로 이루어진 ‘코넬노트’ 양식을 적용하여 수험생들이 기출문제 분석 포인트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험생들은 코넬노트 양식을 반복적으로 접함으로써 올바른 기출문제 분석 방법을 자연스럽게 체화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시험장에서도 자신 있게 답을 적어낼 수 있게 하는 밑거름이 될 것이다.

본 교재는 특수교사 출신인 저자의 수험생활과 교육 현장 경험에서 비롯된 학습 노하우를 빠짐없이 반영하였다. 예비 특수교사들의 꿈을 향한 여정에 이 교재가 나침판의 역할을 할 수 있길 바란다.

■ 출판사 리뷰
이론을 암기하고 기출문제를 풀이하는 것은 수험생이 직접 해내야 할 몫이지만, 수험생 혼자 긴 수험생활을 오롯이 견뎌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수험생이 선택한 교재와 강의 역시 어떻게 하면 수험생이 단기에 임용시험 합격이라는 목표를 이룰 수 있을지, 어떻게 하면 지치지 않고 학습 진도를 유지할 수 있을지 등에 대한 고민을 함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재와 강의를 고르는 것은 임용시험 합격으로의 여정을 함께 완주할 파트너를 선택하는 일과도 같다. 본 교재는 수험생의 든든한 파트너가 되기 위해 많은 연구 끝에 다음과 같은 특성을 담았다.

1. 마인드맵을 통한 문제 풀이 워밍업
각 챕터의 도입부마다 챕터별 핵심 키워드를 정리한 마인드맵을 제시하였다. 수험생들은 기본이론서에서 배운 내용을 마인드맵으로 정리·복습함으로써 본격적인 문제 풀이를 위한 워밍업을 할 수 있다. 여기에 도입부뿐 아니라 각 문제의 좌측 ‘구조화 틀’에도 관련 이론의 키워드를 마인드맵으로 제시, 수험생들이 핵심 개념을 촘촘하게 구조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2. 다양한 시각적 장치를 통한 기출문제의 체계적 분석
기출문제에서 출제자의 의도나 함정이 담긴 부분은 색 밑줄로 표시하여 수험생들이 지문을 읽을 때 비중을 둘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지문의 우측에는 색 밑줄과 이어지는 ‘분석 포인트’를 배치, 해당 지문과 관련된 개념의 해설 등을 제시하여 수험생의 올바른 문제 풀이에 길잡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3. ‘확장하기’를 통한 심화 이론 제시
기출문제와 관련된 새로운 각론이나 심화 이론이 있는 경우 ‘확장하기’를 통해 별도로 제시하였다. 특히 난도가 높거나 수험생이 이해하기에 어려운 내용은 도표나 그림으로 간결하게 정리하여 학습 부담을 덜었다. 이는 기출 분석을 처음 하거나, 새로운 관점으로 기출문제를 분석하기를 원하는 수험생들의 학습 폭을 넓혀줄 것이다.

목차
Part 01. 특수교육공학
Chapter 01. 보완대체의사소통(AAC)의 이해
Chapter 02. 보완대체의사소통(AAC)의 구성요소
Chapter 03. 보완대체의사소통(AAC)의 평가
Chapter 04. 보완대체의사소통(AAC)의 평가 모델
Chapter 05.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지도의 실제
Chapter 06. 특수교육공학
Chapter 07. 지체장애 학생을 위한 컴퓨터 보조공학
Chapter 08. 시각장애 학생을 위한 컴퓨터 보조공학
Chapter 09. 웹 접근성(정보 접근성)
Chapter 10. 보편적 학습설계
Chapter 11. 매체와 컴퓨터 활용


Part 02. 행동지원
Chapter 01. 학교차원 긍정적 행동지원
Chapter 02. 개별차원 긍정적 행동지원
Chapter 03. 행동의 직접 관찰과 측정
Chapter 04. 단일대상연구의 기초
Chapter 05. 단일대상연구 설계의 종류
Chapter 06. 자료의 시각적 분석
Chapter 07. 3요인 유관분석
Chapter 08. 바람직한 행동의 증가
Chapter 09.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의 감소
Chapter 10. 새로운 행동의 습득


Part 03. 특수교육평가
Chapter 01. 진단 및 평가의 이해
Chapter 02. 표준화 검사
Chapter 03. 점수의 유형
Chapter 04. 진단 및 평가의 유형
Chapter 05. 대안적 사정
Chapter 06. 인지·지능검사
Chapter 07. 적응행동검사
Chapter 08. 의사소통 관련 검사
Chapter 09. 자폐성장애 관련 검사
Chapter 10. 정서 및 행동장애 관련 검사
Chapter 11. 운동 및 시지각 관련 검사
Chapter 12. 학습능력검사
Chapter 13. 영유아 발달 관련 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