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2025 권은성 ZOOM 전공체육 체육사 철학원리』는 교원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을 준비하는 예비 체육교사들을 위해 집필된 기본서이다. 본서는 전공체육 「체육사 철학원리」의 핵심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학습 효율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었다. 또한 키워드별로 기출사항을 표시하여 출제 비중을 살피고 중요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복잡한 개념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표와 그림을 배치하였다. 수험생들은 본서를 통해 교원 임용시험 전공 만점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권은성 ZOOM 전공체육이 여러분의 최종 합격을 응원한다.

목차
PART 01 체육사

Chapter 01 고대 체육과 스포츠 문화

Section 01 원시 및 고대의 신체 문화
01. 원시 시대 생활과 문화
02. 동방의 신체 문화
03. 스포츠의 기원과 진화

Section 02 그리스 체육과 스포츠
01. 호머 시대 체육과 스포츠
02. 스파르타
03. 아테네 체육
04. 그리스의 스포츠
05. 그리스 체육 사상

Section 03 로마 체육과 스포츠 문화
01. 로마 사회와 교육
02. 로마 체육
03. 로마 스포츠와 오락
04. 로마 체육 사상

Section 04 고대 중국 체육과 스포츠 문화
01. 체육
02. 스포츠

Chapter 02 중세 및 근세 초기 체육과 스포츠 문화

Section 05 중세 체육과 스포츠 문화
01. 중세 기독교 사회와 교육
02. 중세 체육
03. 중세 스포츠와 오락
04. 중세 체육 사상

Section 06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시대 체육과 스포츠 문화
01. 르네상스 시대 사회와 교육
02. 르네상스 시대 체육과 사상
03. 종교개혁 시대 체육
04. 르네상스 및 종교개혁 시대 스포츠

Section 07 절대주의 시대 체육과 스포츠 문화
01. 절대주의 시대 사회와 교육
02. 절대주의 시대 체육과 사상
03. 절대주의 시대의 스포츠 …

Chapter 03 근현대 체육과 스포츠 문화

Section 08 근대 사회 발전과 신체 문화의 발달 배경
01. 자유주의와 민족주의 발전
02. 현대사 전개
03. 근·현대 체육과 스포츠 발달 배경

Section 09 유럽 대륙 체육과 스포츠 문화
01. 독일 체육과 스포츠
02. 스웨덴 체육과 스포츠
03. 덴마크 체육과 스포츠
04. 프랑스 체육과 스포츠
05. 러시아 체육과 스포츠

Section 10 영국 체육과 스포츠 문화
01. 영국 사회와 교육
02. 영국 체육
03. 영국 스포츠
04. 영국 체육 사상

Section 11 미국 체육과 스포츠 문화
01. 미국 사회와 교육
02. 미국 체육
03. 미국 스포츠
04. 미국 체육 사상

Section 12 중국과 일본의 체육과 스포츠 문화
01. 중국 체육과 스포츠 문화
02. 일본 체육과 스포츠 문화

Section 13 근대 올림픽
01. 근대 올림픽의 부활
02. 제2차 세계대전 이전의 하계올림픽
03.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하계올림픽
04. 동계올림픽
05. 근대 올림픽 사상과 이데올로기

Chapter 04 한국 체육과 스포츠 문화

Section 14 한국 고대 사회 스포츠 문화
01. 선사 시대 체육과 스포츠
02. 부족국가 시대 체육과 스포츠
03. 삼국 및 통일신라 시대 체육과 민속 스포츠 문화

Section 15 고려 시대 체육과 민속 스포츠 문화
01. 고려 시대 사회와 교육
02. 고려 시대 무예와 교육
03. 고려 시대 민속 스포츠와 오락

Section 16 조선 시대 체육과 민속 스포츠 문화
01. 조선 시대 사회와 교육
02. 조선 시대 무예와 교육
03. 조선 시대 민속 스포츠와 오락
04. 조선 시대 체육 사상

Section 17 개화기 체육과 스포츠 문화
01. 개화기 사회와 교육
02. 개화기 체육의 발전 단계
03. 개화기 스포츠
04. 개화기 체육 사상

Section 18 일제 강점기 체육과 스포츠 문화
01. 일제 강점기 사회와 교육
02. 일제 강점기 체육
03. 일제 강점기 스포츠
04. 일제 강점기 민족주의 체육 사상

Section 19 광복 이후 체육과 스포츠 문화
01. 광복 이후 사회와 교육
02. 광복 이후 체육
03. 광복 이후 스포츠
04. 광복 이후 체육 사상

PART 02 체육철학·원리

Chapter 01 체육철학

Section 01 체육과 철학
01. 체육철학의 위치와 역할
02. 철학의 구성

Section 02 철학 사상과 체육
01. 관념론
02. 실재론
03. 자연주의
04. 실용주의
05. 실존주의
06. 현상학

Chapter 02 체육원리

Section 03 체육의 개념
01. 체육의 정의
02. 체육의 개념과 용어

Section 04 체육과 유사한 개념
01. 체육과 스포츠
02. 레크리에이션과 체육
03. 보건(건강교육)과 체육

Section 05 스포츠의 개념
01. 스포츠의 개념 정의 문제
02. 스포츠의 성격을 이해하는 방식
03. 기술적 접근
04. 규범적 접근

Section 06 스포츠 윤리
01. 스포츠와 윤리
02. 윤리이론
03. 경쟁과 페어플레이
04. 스포츠와 다양한 윤리적 문제

Section 07 체육과 학문
01. 체육학의 성립
02. 연구 방법

Section 08 체육과 인간
01. 운동과 신체
02. 심신이원론적 신체관과 체육학의 패러다임
03. 심신일원론적 신체관과 체육학의 패러다임
04. 동양의 신체관

Section 09 체육과 지식
01. 명제적 지식과 방법적 지식
02. 신체활동 지식
03. 체육적 지식과 인격, 그리고 삶

Section 10 체육과 교육
01. 정당화 유형
02. 신체의 교육
03. 신체육
04. 휴먼 무브먼트
05. 몸 교육으로서의 체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