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1. 2015 개정 및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철저히 비교 분석
2. 출제의 근거가 되는 2015 개정 중학교 및 고등학교 교과서를 심층 분석
3. 관련서, 논문 등 3,018건의 자료와 3,620여 건의 도판을 최적화
4. 기입형 및 서술식 이론을 한 눈에 보기 쉽게 표와 연관 용어로 구조화 실현
5. 25년간의 기출문제까지 분석과 이론화 작업으로 적중 이론서로서 패러다임을 제시
6. 영역별로 교수-학습 과정과 교수법을 연결하여 현장형으로 구성

목차
제1장 미술 교육론
       1. 미(美)-아름다움의 시작
       2. 미술 교육(美術敎育)
       3. 어린이 미술
       4. 미술 교육의 역사
       5. 현대 미술 교육의 다양성
제2장 새로운 미술 교육 과정
       1. 미술과 교육 과정의 변천
       2. 2015 개정 미술과 교육 과정
       3. 2022 개정 미술과 교육 과정
제3장 표현∣미술 표현
       3-1. 평면으로 나타내기
             ■ 창의적인 표현의 즐거움
             ■ 표현의 이해
             1. 회화(Painting)
             2. 인물 표현(Figure Painting)
             3. 풍경 표현(Landscape Painting)
             4. 정물 표현(Still-life)
             5. 전통 회화
       3-2. 판으로 나타내기
             1. 판화(Printmaking)
             2. 볼록 판화(Relief)
             3. 오목 판화(Intaglio)
             4. 평 판화(Lithography)
             5. 공 판화(Stencil)
       3-3. 입체로 나타내기
             1. 조소(Carving and modeling)
             2. 소조(Modeling)
             3. 조각(Carving)
             4. 우리나라 전통 조소
             5. 현대 조소
       3-4. 평면과 입체로 꾸미기
             1. 디자인(Design)
             2. 디자인의 역사(History of Design)
             3. 색채 구성(Color Composition)
             4. 시각 디자인(Visual Communication Design)
             5. 산업 디자인(Industrial Design)
             6. 환경 디자인(Environmental Design)
             7. 영상 디자인(Picture Design)
       3-5. 만들어 사용하기
             1. 공예(Craft Design)
             2. 금속 공예(Metal Craft)
             3. 칠보 공예(Enameling Craft)
             4. 염색 공예(Dyeing Craft) 및 섬유 공예(Fiber Craft)
             5. 도자 공예(Ceramic Craft)
             6. 목 공예(Wood Craft)
             7. 종이 공예(Paper Craft)
             8. 초자 공예(Glass Craft)
             9. 기타 공예(Rest Craft)
       3-6. 붓글씨로 나타내기
             1. 서예(書藝)
             2. 전각(篆刻)
             3. 탁본(拓本)
             ■ 서예의 주요 용어 이해
 
      기출문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