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사업장의 안전보건에 관한 진단·평가·기술지도·교육 등에 관한 산업안전보건 컨설턴트인 보건지도사는 그간 시험문제 수준의 형평성 관리부족과 교재수준의 미비로 시험에 응시하고자 희망하는 수험생들이 쉽게 학습을 시작하지 못하는 분야로 여겨져 왔습니다.
보건관리 분야는 안전관리 분야와 비교해 보면 사회적으로 보다 광범위한 문제를 유발하는 데 비해 정부차원에는 최근에서야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한 듯합니다.
지난 2022년 산업재해 통계를 살펴보면 질병 재해자의 28.7%가 신체부담작업에 의해 질병에 이환되었고, 23.2%나 되는 근로자가 난청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전체 질병 중 36.0%가 뇌·심장질환, 35.0%가 진폐증, 15.2%가 직업성 암으로 사망하는 등 사업장 보건관리에 심각한 문제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의 지속으로 향후 보건관리에 많은 관심과 제도개혁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해 볼 수 있으며, 당연히 산업보건지도사의 업무영역 확대에 따른 인력수급 불균형이 예상되므로 향후 산업보건지도사 자격의 취득은 사회생활에 매우 큰힘이 될 것이며, 사회적 위상도 더욱 높아질 것입니다.
최근 산업보건지도사 시험의 출제경향은 그간의 단순 암기위주의 출제수준에서 벗어나 실무적으로 활용 가능한 지식과 직업분야에 적합한 품위를 가늠하는 출제경향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이는 시험에 응시하려는 수험생분들에게 대단한 희소식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저는 대한민국 최고의 전문수험서를 집필한다는 각오로 그간 기술사, 지도사, 기사교재를 집필해 오고 있습니다. 당연히, 수시로 개정되는 법령은 물론 전문기술에 관한 내용을 빠짐없이 반영해 수험생 여러분이 1차, 2차, 3차 면접까지 계획하신 일정대로 합격하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목차
산업안전보건법 관련 개정 핵심 내용
001 중대재해감축로드맵  
002 중대재해처벌법  
003 행정처분기준  
 
제1편 산업안전보건법령
제1장 산업안전보건법
제2장 안전·보건관리체계
제3장 안전·보건관리제도
제4장 진단 및 점검
제5장 사업장의 안전·보건
제6장 안전성 평가
제7장 정책
제8장 재해조사와 분석
제9장 안전점검·안전인증
제10장 보호구 종류, 안전보건표지
 
제2편 산업위생일반
제1장 산업위생개론
제2장 작업관리
제3장 산업위생보호구
제4장 건강관리
제5장 산업재해 조사 및 원인분석
 
제3편 기업진단·지도
제1장 인간행동 분석
제2장 피로와 대책
제3장 안전교육
제4장 인간공학
제5장 정보입력 표시
제6장 청각 및 기타 표시장치
제7장 인간계측
제8장 작업환경 관리
제9장 시스템 위험분석
제10장 안전성 평가
제11장 조직구조
제12장 작업환경 측정
 
제4편 과년도 기출문제
01 1과목 2023년 4월 1일 시행  
02 2022년 3월 19일 시행  
03 2021년 3월 13일 시행  
04 2020년 7월 25일 시행  
05 2019년 3월 30일 시행  
06 2과목 2023년 4월 1일 시행  
07 2022년 3월 19일 시행  
08 2021년 3월 13일 시행  
09 2020년 7월 25일 시행  
10 2019년 3월 30일 시행  
11 3과목 2023년 4월 1일 시행  
12 2022년 3월 19일 시행  
13 2021년 3월 13일 시행  
14 2020년 7월 25일 시행  
15 2019년 3월 30일 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