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책 소개
『2024 신명 아레테(Arete) 교육학개론』은 7·9급 공무원, 5급 공채, 임용 시험을 대비한 교육학 기본서이다. 단원의 전체 내용을 도식화하여 본격적인 학습에 앞서 단원별 흐름과 맥락을 파악하기 쉽도록 구성하였다. 기출문제를 바탕으로 한 OX문제를 통해 각 단원별 핵심 내용을 다시 한 번 정리할 수 있도록 하였고, POINT+, 핵심요약 등 다양한 학습 요소를 통하여 교육학을 보다 쉽게 자세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저자 소개
서울대학교 석사
한국교원대 및 한체대 박사
일본정부초청 국립 고베대 연구위원
現 메가공무원 교육학 전임
前 에듀윌 교육학 전임
前 국가시험출제위원
前 교육정책평가위원
前 청주교대, 삼육대, 극동대, 중앙대 등 외래교수

출판사 리뷰
『2024 신명 아레테(Arete) 교육학개론』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교육학의 큰 흐름을 잡기 유용하다.
본격적인 학습에 앞서 파트 전체의 내용을 익히고 흐름을 잡을 수 있도록 단원의 전체 내용을 도식화하여 수록하였다.

(2) OX문제를 통하여 학습한 내용을 정리할 수 있다.
기출문제를 바탕으로 한 OX 문제를 통해 각 단원별 핵심 내용을 다시 한 번 정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3) 다양한 요소를 통하여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본문의 설명만으로는 부족할 수 있는 내용을 기출 지문 OX, POINT+, 핵심 요약 등의 요소들로 보충하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였다.

목차
[1권]
 
PART I 교육의 이해
CHAPTER 01 교육의 이해
CHAPTER 02 교육의 정의
CHAPTER 03 교육관의 유형
CHAPTER 04 피터스의 교육개념
CHAPTER 05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교육목적
CHAPTER 06 교육의 형태 분류
CHAPTER 07 교직론
 
PART II 교육과정
CHAPTER 01 교육과정의 이해
CHAPTER 02 교육과정 이론 모형
CHAPTER 03 교육과정 개발 및 설계 모형
CHAPTER 04 교육과정 계획
CHAPTER 05 교육과정 통합 및 실행
CHAPTER 06 교육과정의 유형
CHAPTER 07 교육과정 재개념주의
CHAPTER 08 한국의 교육과정
 
PART III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CHAPTER 01 교수와 교수이론의 의미
CHAPTER 02 개별화 교수
CHAPTER 03 설명적 교수
CHAPTER 04 발견 및 탐구 교수
CHAPTER 05 처방적 교수
CHAPTER 06 협동학습
CHAPTER 07 학교수업형태
CHAPTER 08 교육공학 및 교수설계
CHAPTER 09 교수매체
CHAPTER 10 컴퓨터의 교육적 활용
 
PART IV 교육평가(교육연구법 및 교육통계)
CHAPTER 01 교육평가의 이해
CHAPTER 02 교육평가의 모형
CHAPTER 03 검사문항의 제작과 형태
CHAPTER 04 문항분석
CHAPTER 05 측정 및 평가도구의 구비조건
CHAPTER 06 교육평가 유형
CHAPTER 07 수행평가
CHAPTER 08 교육연구 방법
CHAPTER 09 교육통계
 
PART V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CHAPTER 01 교육행정의 개념
CHAPTER 02 교육행정이론의 발달
CHAPTER 03 교육행정 조직
CHAPTER 04 동기이론
CHAPTER 05 지도성 이론
CHAPTER 06 교육기획과 교육정책
CHAPTER 07 의사결정 및 의사소통 모형
CHAPTER 08 교원인사행정
CHAPTER 09 장학이론
CHAPTER 10 교육재정
CHAPTER 11 학교경영
CHAPTER 12 학급경영
 
 
[2권]
 
PART VI 교육사(서양 및 한국)
CHAPTER 01 그리스 문화와 교육의 특징
CHAPTER 02 로마 문화와 교육의 특징
CHAPTER 03 중세 문화와 교육의 특징
CHAPTER 04 르네상스와 인문주의 교육
CHAPTER 05 종교개혁과 교육
CHAPTER 06 실학주의와 교육
CHAPTER 07 계몽주의와 자연주의 교육
CHAPTER 08 신인문주의와 교육
CHAPTER 09 20세기 이후의 교육
CHAPTER 10 삼국시대의 교육
CHAPTER 11 고려시대의 교육
CHAPTER 12 조선시대의 교육
CHAPTER 13 실학사상과 교육
CHAPTER 14 근대의 교육
CHAPTER 15 일제 강점기의 교육
CHAPTER 16 해방 이후의 교육
 
PART VII 교육심리학(생활지도 및 상담)
CHAPTER 01 교육심리학과 심리학
CHAPTER 02 현대 교육심리학 이론
CHAPTER 03 인간 발달의 이해
CHAPTER 04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CHAPTER 05 비고츠키의 역사 ? 사회적 인지발달
CHAPTER 06 성격발달이론
CHAPTER 07 도덕성 발달이론
CHAPTER 08 학습과 학습이론
CHAPTER 09 지능
CHAPTER 10 창의성
CHAPTER 11 학습동기
CHAPTER 12 성취동기
CHAPTER 13 학습의 전이
CHAPTER 14 인지양식
CHAPTER 15 적응(정신위생)
CHAPTER 16 특수 학습자
CHAPTER 17 생활지도의 이해
CHAPTER 18 생활지도의 내용과 활동 영역
CHAPTER 19 생활지도의 실제
CHAPTER 20 상담의 이해
CHAPTER 21 상담대화기법
CHAPTER 22 상담이론
CHAPTER 23 청소년 비행이론
 
PART VIII 교육사회학
CHAPTER 01 교육사회학의 성립과 전개과정
CHAPTER 02 교육사회학 이론
CHAPTER 03 신교육사회학
CHAPTER 04 교육과 사회, 문화와의 관계
CHAPTER 05 사회집단과 교육
CHAPTER 06 학교사회와 교육
CHAPTER 07 학교비판론
CHAPTER 08 사회이동과 교육
CHAPTER 09 학력상승과 학교팽창론
CHAPTER 10 교육평등과 사회평등
CHAPTER 11 교육기회의 분배
CHAPTER 12 평생교육
 
PART IX 교육철학
CHAPTER 01 철학과 교육철학의 의미
CHAPTER 02 인식론과 교육
CHAPTER 03 가치론과 도덕교육론
CHAPTER 04 20세기 미국의 현대 교육사조
CHAPTER 05 현대 교육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