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책 소개
알짜 : 조금도 모자람 없이 꽉 차 실속 있는 것


2024년 보호직, 사회복지직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고 계시는 수험생 여러분 반갑습니다.
2022년과 2023년 9급 공무원 시험에서 사회복지학개론은 기본 두 문제 이상이 기출 외 신규테마에서 출제되었고, 그 외에도 문제의 심도나 범위 등에서 시험마다 출제방식에 편차가 컸던 특징을 보였습니다. (지방직 시험의 사회복지학개론의 난도가 국가직이나 기존의 평균적인 지방직 시험수준과 비교해 2년 연속 낮았으므로, 특히 사회복지직을 목표로 하는 수험생들은 최근 시험보다는 높은 난도의 시험을 염두에 두고 대비하기 바랍니다.)
공무원 선발인원 감소로 2024년 합격을 위해서는 이전보다 더 치열한 전투를 각오해야 합니다. 신경향 문제, 변형 선지, 심도 높은 문제의 비중이 어느 정도이든 관계없이 어떤 경우라도 다른 응시자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답을 찾아 거뜬히 합격할 점수를 산출해야 합니다. 남은 기간 동안 기필코 그런 실력을 갖춥시다.
그러자면 기출은 기출대로 핵심을 잘 정리하고, 기출 외 영역에서도 나올 만한 영역을 선별해 핵심을 정리해 주는 교재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 교재는 철저한 기출분석을 토대로 시험 대비를 위한 기출+α 영역의 핵심을 콕콕 짚어 정리한 사회복지학개론 알짜 필기노트입니다.
효율적 학습을 위한 요약서를 선택할 때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꼼꼼하게 체크해야 합니다.


∙효율성이 중요한 요약서에조차 불필요한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지는 않은가?
∙요약서인데도 필수 개념이 빠져있지는 않은가?
∙내용의 중요도에 따라 진짜 핵심들을 조절하며 빠짐없이 포함하고 있는가?
∙개론서를 요약한 느낌이 아니라 주요 기출영역을 중심으로 한눈에 파악하기 쉽게 주제를 구성해 체계적으로 정렬하였는가?
∙내용을 정리한 방식이 깔끔한가?
∙지나친 압축으로 내용 이해가 어렵거나, 장황한 서술로 요지 파악이 어렵지는 않은가?
∙개정사항을 꼼꼼하게 반영하지 못해 이미 바뀐 표현이나 내용을 그대로 담고 있는 오류가 있지는 않은가?


체크를 위해 주요 출제영역 몇 가지를 골라 요약서마다 정리한 내용과 방식을 비교해 보고, 꼼꼼하게 최선의 요약서를 선택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럴 여유가 없거나 비교해도 구분하기 힘들다면, 바로 이 알짜 필기노트를 믿고 선택하시면 됩니다. 위의 점검사항들을 염두에 두고 가장 최선의 요약을 담았습니다.
문제만 딱 봐도 핵심내용이 머리에 자연스럽게 떠올라야 하는 필수적인 내용들을 추리고 추려 알짜만 담았습니다.
이 내용들이 진짜 알짜라는 믿음을 토대로 다른 건 몰라도 이 필기노트의 내용은 100% 소화하십시오. 이 필기노트를 정복하면 2024년 사회복지학개론 고득점, 충분히 가능합니다. 회독에 회독을 거듭해 필기노트를 정복하고, 시험을 정복하고, 합격합시다.


지은이 소개
김유경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 석⋅박사


현) 공단기 사회복지학개론 대표강사
사회복지전문 출판 생각의마을 이사
사회복지법인 자광재단 사외이사
에쎕(ESEP) 사회복지사 1급 수험서 집필 및 유튜브 강의


전) 광진복지재단(연구원)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선임연구원)
노숙인다시서기지원센터(과장)
서울대학교, 세종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충남대학교, 경기대학교, 서울사이버대학교, 평택대학교 등 다수 대학에서 강의


목차
CHAPTER 01 사회복지의 개념과 관점 
Theme 01 사회복지의 개념 / 10 
Theme 02 사회보장, 사회서비스, 사회안전망 / 11 
Theme 03 잔여적 복지와 제도적 복지 / 12 
Theme 04 선별적 복지(선별주의)와 보편적 복지(보편주의) / 14 
Theme 05 기타 알아둘 내용 / 15 
 
CHAPTER 02 사회복지발달사 : 서구 
Theme 01 구빈법 / 20 
Theme 02 민간의 구빈활동 자선 조직협회 대 인보관운동 / 22 
Theme 03 빈곤관의 전환과 사회보험 도입 / 23 
Theme 04 복지국가의 전성기와 위기· / 25 
Theme 05 새로운 사회적 위험과 복지국가 재편 / 26 
 
CHAPTER 03 사회복지발달사 : 한국 
Theme 01 근대 이전 사회복지역사 / 32 
Theme 02 근대 이후 사회복지역사: 주요 법 제정연도· / 33 
Theme 03 근대 이후 사회복지역사:주요 법령 핵심 개정 / 35 
Theme 04 근대 이후 사회복지역사: 주요 사건 / 36 
 
CHAPTER 04 사회복지의 가치 
Theme 01 사회복지정책의 가치 / 42 
Theme 02 사회복지실천의 가치 유형 / 45 
Theme 03 윤리적 딜레마(갈등) :쟁점과 유형 / 46 
Theme 04 윤리적 의사결정모델 / 49 
Theme 05 사회복지사 윤리강령 / 50 
Theme 06 인권 / 57 
 
CHAPTER 05 인간발달 : 주요 이론 
Theme 01 이론 개괄 / 62 
Theme 02 정신역동이론 / 64 
Theme 03 행동주의이론 / 69 
Theme 04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 72 
Theme 05 인본주의이론 / 73 
Theme 06 생태체계이론(관점) / 74 
Theme 07 생애주기 / 76 
 
CHAPTER 06 사회복지조사 
Theme 01 과학적 방법 / 82 
Theme 02 사회과학 패러다임과 사회조사 윤리 / 83 
Theme 03 사회조사의 절차와 유형 / 84 
Theme 04 분석단위 및 가설검증 관련 오류 / 85 
Theme 05 변수의 유형과 조작화 / 86 
Theme 06 조사설계의 내적 타당도와 외적 타당도 / 87 
Theme 07 조사설계 유형 / 89 
Theme 08 단일사례설계 / 91 
Theme 09 표집 / 92 
Theme 10 측정과 척도 / 94 
Theme 11 다양한 조사방법(자료수집방법) / 97 
Theme 12 욕구조사 / 99 
Theme 13 평가조사 / 101 
Theme 14 질적조사 / 102 
 
CHAPTER 07 사회복지실천(1) : 개괄, 관계, 면접 
Theme 01 사회복지실천의 기초 / 108 
Theme 02 사회복지실천현장 / 110 
Theme 03 사회복지사 / 113 
Theme 04 통합적 방법(통합방법론) / 114 
Theme 05 사회복지실천의 주요 관점 / 117 
Theme 06 사회복지실천의 관계 / 119 
Theme 07 사회복지실천의 면접 / 121 
 
CHAPTER 08 사회복지실천(2) : 과정, 기록, 사례관리 
Theme 01 사회복지실천의 과정 / 128 
Theme 02 사회복지실천의 기록 / 130 
Theme 03 사례관리 / 131 
 
CHAPTER 09 사회복지실천기술 
Theme 01 기본적인 사회복지실천모델 / 138 
Theme 02 가족 대상 사회복지실천 / 145 
Theme 03 집단사회복지실천 / 150 
 
CHAPTER 10 지역사회복지 
Theme 01 지역사회복지의 기초 개념 / 158 
Theme 02 지역사회복지실천의 목표와 실천모델 / 160 
Theme 03 지역사회복지실천기술 / 164 
Theme 04 지역사회보장계획 / 166 
Theme 05 시․도 사회보장위원회와 시․군․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 / 168 
Theme 06 지역사회복지 추진체계 / 170 
 
CHAPTER 11 사회복지행정 
Theme 01 사회복지행정의 특징과 환경 / 178 
Theme 02 사회복지행정이론(사회복지조직이론) / 180 
Theme 03 리더십이론 / 184 
Theme 04 동기이론 / 188 
Theme 05 사회복지 프로그램 / 189 
Theme 06 예산모형 / 191 
Theme 07 정보시스템 개편 과정 / 194 
 
CHAPTER 12 사회복지정책(1) : 정책 유형, 시장실패, 정책결정모형 
Theme 01 사회복지정책의 유형 / 200 
Theme 02 시장실패 / 203 
Theme 03 사회복지정책의 결정 / 206 
 
CHAPTER 13 사회복지정책(2) :정책 분석틀(길버트와 테렐) 
Theme 01 사회복지정책 분석의 접근방법 / 212 
Theme 02 산물(사회복지정책) 분석을 위한 분석틀 / 213 
Theme 03 사회복지 전달체계 / 218 
 
CHAPTER 14 복지국가 
Theme 01 복지국가 유형화 / 226 
Theme 02 복지국가발달이론(사회복지정책 발달이론) / 229 
Theme 03 사회복지의 이념과 사상 / 231 
 
CHAPTER 15 사회복지 법과 제도 
Theme 01 헌법 제34조와 국제법 / 238 
Theme 02 권리구제와 청문 / 239 
Theme 03 「사회보장기본법」 / 240 
Theme 04 「사회복지사업법」 / 242 
Theme 05 「사회보장급여의 이용․제공 및 수급권자발굴에 관한 법률」(사회보장급여법) / 246 
 
CHAPTER 16 사회보장제도 
Theme 01 사회보험제도 / 252 
Theme 02 공공부조제도 / 258 
 
CHAPTER 17 사회복지분야론 
Theme 01 아동복지 / 270 
Theme 02 청소년복지 및 학교사회복지 / 276 
Theme 03 노인복지 / 278 
Theme 04 장애인복지 / 281 
Theme 05 가족복지 및 여성복지 / 286 
Theme 06 정신건강사회복지와 자원봉사 / 289 
 
부록 
부록 1. 주요 인물 정리 / 296 
부록 2. 주요 위원회 / 298 
부록 3. 주요 기본계획 및 실태조사 / 299 
부록 4. 법정기념일 / 300 
부록 5. 주요 기본(종합)계획 / 301 
부록 6. 허가, 신고, 인가, 지정, 인증 등 / 301 
 
• 찾아보기 / 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