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책 소개
김유경 PASS 사회복지학개론의 구조
사회복지학개론은 크게 이론과 실제로 구분되고, 이론은 ① 사회복지실천 이론과 ② 사복지정책 이론으로, 실제는 ① 다양한 사회보장 관련 법률 및 제도와 ② 사회복지실천 분야론(아동, 노인, 장애인, 가족, 정신건강 등)으로 구분됩니다.
김유경 PASS 사회복지학개론은 상ㆍ하권 두 권의 기본서와 복습노트로 구성되며 자유로운 선택을 보장하고자 묶음판매가 아닌 개별판매 방식으로 출간됩니다. 상권(12개 단원)에서는 사회복지실천 이론을, 하권 (13개 단원)에서는 사회복지정책 이론, 사회보장 관련 법률 및 제도, 회복지실천 분야론을 다룹니다.

‘남는 게 많은 공부’를 위한 권고
1. 흐름과 맥락을 이해하면 암기가 수월해집니다.
다양한 커리큘럼(기본서, 요약서, 기출문제집, 모의고사 등) 중 가장 상세한 내용을 담고 있는 교재가 바로 기본서입니다. 기본서는 흐름과 맥락 속에서 개념의 위치와 의미를 이해하게 함으로써, 특정 개념을 떠올렸을 때 연상하거나 연결할 수 있는 내용을 가장 풍성하게 만들어줍니다. 시험에서도 특정 개념에 대한 풍부한 맥락정보는 변형된 문제에 대한 대응력을 키워주며, 이런 역량은 특히 난도가 높은 시험에서 빛을 발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A라는 도시에 가본 적 없이 A라는 도시의 이름만 암기한 사람과 A라는 도시를 실제로 방문하고 경험한 사람이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그리고 누군가 A에 대해 물어본다면, 두 사람은 답을 떠올리는 속도, 정확도, 그리고 더 확장해 답할 수 있는 내용에 차이가 발생할 것입니다.
2. 남는 게 많은 공부의 핵심은 ‘복습’
기본서 1회독 후 남는 게 별로 없다고 하소연하는 분들이 참 많은데, 부디 독자께서는 남는 게 많은 공부를하기 바랍니다. 사람의 기억 용량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끊임없이 개념을 들이붓기만 하면 뇌는 앞서 들어온 개념들을 빠른 속도로 비워내게 됩니다.
남는 공부의 핵심은 바로 복습에 있습니다. 학습한 개념을 정리하는 과정 없이 새로운 개념을 계속 투입만 하는 학습은 투입량 대비 남는 게 별로 없어 효율적이지 않습니다. 정말 시간이 부족하겠지만 규칙적인 복습시간을 학습계획에 꼭 포함시키기 바랍니다.

복습을 위한 김유경 PASS 사회복지학개론의 장치들
1. 학습하면서 바로 풀어볼 수 있는 기출OX와 기출문제들
각 단원마다 본문의 좌우날개에 해당 페이지 내용 관련 기출OX와 기출문제들을 배치했습니다. 공부하고 있는 개념이 실제 시험에서는 어떤 식으로 출제되는지 바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전 감각을 극대화하면서 개념을 정리할 수 있습니다.
2. 복습노트 (기출OX, 핵심개념체크, 5분컷 예상문제로 구성)
2023년 기본서에서는 단원별로 풀어볼 수 있는 복습문제들을 기본서 내에 배치했었는데, 올해는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복습노트를 따로 출간했습니다.
∙기본서에서는 기출 선지 위주의 복습을 할 수 있도록 기출문제를 좌우에 많이 배치
∙교재의 두께에서 오는 압박감과 교재 가격을 줄이기 위한 컴팩트한 구성
∙언제 어디서나 편하게 복습할 수 있도록 가볍게 휴대 가능한 복습노트 제공

그 외 김유경 PASS 사회복지학개론 교재의 특징
1. 전 범위, 단원별 출제 경향표 제시
2. 단원마다 ‘한 눈에 보는 핵심테마’ 제시
3. 꼼꼼한 출제연도 표기

지은이 소개
김유경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 석⋅박사

현) 공단기 사회복지학개론 대표강사
 사회복지전문 출판 생각의마을 이사
 사회복지법인 자광재단 사외이사
 에쎕(ESEP) 사회복지사 1급 수험서 집필 및 유튜브 강의
전) 광진복지재단(연구원)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선임연구원)
노숙인다시서기지원센터(과장)
서울대학교, 세종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충남대학교, 경기대학교, 서울사이버대학교, 평택대학교 등 다수 대학에서 강의

목차
Chapter 01 사회복지행정론 / 17
❚ 최근 14개년 출제경향 / 18
❚ 한 눈에 보는 핵심테마 / 19
01 사회복지행정 개괄 / 20
02 사회복지조직의 환경 / 23
03 사회복지조직이론 / 26
04 리더십이론 / 38
05 동기이론과 슈퍼비전 / 43
06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 47
07 예산 / 52
08 정보시스템 / 59
 
Chapter 02 사회복지정책 일반 / 61
❚ 최근 14개년 출제경향 / 62
❚ 한 눈에 보는 핵심테마 / 63
01 사회복지정책의 유형 / 64
02 시장실패와 국가개입의 필요성 / 72
03 사회복지정책결정의 과정 / 78
04 정책결정이론(모형) / 81
 
Chapter 03 사회복지정책 분석틀 / 85
❚ 최근 14개년 출제경향 / 86
❚ 한 눈에 보는 핵심테마 / 87
01 사회복지정책 분석의 접근방법(연구유형) / 88
02 산물분석을 위한 분석틀 / 89
03 사회복지 전달체계 / 103
 
Chapter 04 복지국가론 / 111
❚ 최근 14개년 출제경향 / 112
❚ 한 눈에 보는 핵심테마 / 113
01 에스핑-앤더슨(G. Esping-Andersen)의 복지국가 유형화 / 114
02 그 외의 복지국가 유형화 / 117
03 복지국가 발달 이론 / 120
04 사회복지의 사상과 이념(이데올로기) / 128
 
Chapter 05 사회복지와 법 / 137
❚ 최근 14개년 출제경향 / 138
❚ 한 눈에 보는 핵심테마 / 139
01 사회복지의 헌법적 기반 / 40
02 국민의 권리구제 / 141
03 사회복지와 관련된 국제법 / 145
04 「사회보장기본법」 / 147
05 「사회복지사업법」 / 155
06 「사회보장급여의 이용⋅제공 및 수급권자 발굴에 관한 법률」(사회보장급여법) / 164
 
Chapter 06 사회보장제도(1) : 공적연금과 사회보험 / 171
❚ 최근 14개년 출제경향 / 172
❚ 한 눈에 보는 핵심테마 / 173
01 공적연금 / 174
02 국민연금 / 176
03 특수직역연금 / 181
04 국민건강보험 / 181
05 노인장기요양보험 / 184
06 산업재해보상보험 / 189
07 고용보험 / 192
 
Chapter 07 사회보장제도(2) : 공공부조 / 195
❚ 최근 14개년 출제경향 / 196
❚ 한 눈에 보는 핵심테마 / 197
01 빈곤과 불평등 이론 / 198
02 국민기초생활보장 / 202
03 긴급복지지원 / 215
04 기초연금 / 219
05 장애인연금 / 221
06 의료급여 / 223
07 다양한 저소득층 지원 정책 / 225
 
Chapter 08 사회복지분야론(1) : 아동복지 / 229
❚ 최근 14개년 출제경향 / 230
❚ 한 눈에 보는 핵심테마 / 231
01 아동복지의 대상과 주요 원칙 / 232
02 아동복지서비스의 분류 / 234
03 「아동복지법」 / 236
04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 249
05 「영유아보육법」 / 254
06 기타 아동 관련 사업 및 관련 법령 핵심 내용 / 257
 
Chapter 09 사회복지분야론(2) : 청소년복지와 학교사회복지 / 261
❚ 최근 14개년 출제경향 / 262
❚ 한 눈에 보는 핵심테마 / 263
01 「청소년복지 지원법」 / 264
02 「학교 밖 청소년 지원에 관한 법률」 / 267
03 학교사회복지 / 267
 
Chapter 10 사회복지분야론(3) : 노인복지 / 273
❚ 최근 14개년 출제경향 / 274
❚ 한 눈에 보는 핵심테마 / 275
01 고령화 사회와 노인 / 276
02 노화의 유형과 노화이론 / 278
03 「노인복지법」 / 280
04 노인복지 관련 이슈 / 286
 
Chapter 11 사회복지분야론(4) : 장애인복지 / 291
❚ 최근 14개년 출제경향 / 292
❚ 한 눈에 보는 핵심테마 / 293
01 장애인의 정의와 유형 / 294
02 장애인복지 모델과 이념 / 298
03 「장애인복지법」 / 302
04 기타 주요 법률 / 315
 
Chapter 12 사회복지분야론(5) : 가족복지와 여성복지 / 319
❚ 최근 14개년 출제경향 / 320
❚ 한 눈에 보는 핵심테마 / 321
01 가족의 특징과 변화 / 322
02 우리나라의 가족복지정책(모성보호ㆍ자녀돌봄 지원) / 324
03 여성⋅가족과 밀접한 피해자 보호 지원 / 327
04 「한부모가족지원법」 / 331
05 「다문화가족지원법」 / 335
06 「건강가정기본법」 / 336
 
Chapter 13 사회복지분야론(6) : 정신건강사회복지와 자원봉사 / 339
❚ 최근 14개년 출제경향 / 340
❚ 한 눈에 보는 핵심테마 / 341
01 정신건강사회복지 / 342
02 자원봉사 / 349
 
■ 찾아보기 / 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