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 책소개
《예비사회교사를 위한 일반사회교육론》은 교원임용시험 일반사회 필수과목 중 하나인 일반사회교육론을 준비하는 예비 사회교사들을 위해 집필된 수험서이다. 본서는 논리적이며 체계적으로 조직된 단권화 수험서로, ‘상세함’이라는 개론서의 장점과 ‘핵심적’이라는 요약서의 장점을 결합한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본서의 특성으로는 제목만으로 내용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서의 제목은 스토리텔링 및 내러티브를 반영한 논리적인 서술로 구성되어, 본문의 제목들만 읽어도 전반적인 내용 파악 및 효과적인 학습이 가능하다.

■ 저자소개(약력)
이율

· 부산대학교 사회교육연구소 실장
· 사회과교육 전공 교육학 박사
· 연세대학교 특임교수
· 하제스트 교육연구소 소장
· 한국 법교학회 이사 및 사회과 학회 회원

<주요 저서>

· 예비사회교사를 위한 전공사회 시리즈
· 예비사회교사를 위한 법학
· 예비사회교사를 위한 정치학
· 예비사회교사를 위한 일반사회교육론
· 예비사회교사를 위한 경제학 기본원리

· 다문화주의, 다문화교육, 이데올로기, 민주주의
· 법교육학 입문
· 시민주권과 민주시민교육

■ 출판사 리뷰
《예비사회교사를 위한 일반사회교육론[제2판]》은 교원임용시험 일반사회 필수과목 중 하나인 일반사회교육론을 준비하는 예비 사회교사들을 위해 집필된 수험서이다.

본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본서는 합격을 위한 단권화 수험서로, 기출문제 분석을 통하여 개념?일반화?원리?법칙 등의 내용을 선정하였으며 출제자의 눈높이에서 주요 맥락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2. 불필요한 내용을 없애고 읽기 쉽도록 간결하게 핵심 위주로 정리하여, 가독성을 높임과 동시에 실제 시험에서 답안을 작성하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하였다.

3. 각 단원의 제목을 본문 내용이 요약된 형태로 구성하였으며, 매 파트마다 수록된 ‘한눈에 살펴보기’를 통해 본격적인 학습에 앞서 전반적인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4. 중?고등학교 교과서의 ‘해설서’ 역할도 고려하였다. 합격한 이후에도 참고도서로의 역할, 교과서 해설서로의 역할, 내용학적 지식을 보완하는 역할 등을 할 수 있는 교재가 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수험생들이 본서를 통해 교원임용시험을 완벽히 대비할 수 있기를 바라며, 최종적으로 사회과 교사라는 꿈에 도달하기를 희망한다.

목차
Part 01. 사회과의 구조 및 역사
Chapter 01. 사회과 교육의 개념적 특성
Ⅰ. 사회과 교육의 의미
Ⅱ. 사회과교육의 성격
Ⅲ. 사회과에 대한 정의

Chapter 02. 미국 사회과 교육의 역사
Ⅰ. 1880년대~1919년
Ⅱ. 1920~1930년대
Ⅲ. 1950년대
Ⅳ. 1960~1970년대
Ⅴ. 1980년대
Ⅵ. 1990~2010년대

Chapter 03. 한국 사회과 교육의 역사
Ⅰ. 교수요목기
Ⅱ. 제1차 교육과정
Ⅲ. 제2차 교육과정
Ⅳ. 제3차 교육과정
Ⅴ. 제4차 교육과정
Ⅵ. 제5차 교육과정
Ⅶ. 제6차 교육과정
Ⅷ. 제7차 교육과정
Ⅸ. 2007 개정 교육과정
Ⅹ. 2009 개정 교육과정
?. 2015 개정 교육과정
?. 2022 개정 교육과정

Chapter 04. 사회과 교육의 본질
Ⅰ. 사회과 교육의 본질에 대한 논의
Ⅱ. 사회과의 5가지 모형
Ⅲ. 사회과 모형에 대한 정리

Part 02. 사회과 교육의 목표
Chapter 01. 사회과 목표의 의미 및 역사
Ⅰ. 사회과 목표의 정의
Ⅱ. 사회과 교육목표의 발달

Chapter 02.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의 목표
Ⅰ. 2022 개정 교육과정 사회과 목표
Ⅱ.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의 목표에 대한 이해

Part 03. 사회과 교육과정
Chapter 01. 사회과 교육과정의 구성 및 조직 형태
Ⅰ. 사회과 교육과정의 의미와 구성
Ⅱ. 교육과정 조직형태

Chapter 02.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과정의 구성원리 및 교육과정
Ⅰ.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과정 구성원리
Ⅱ.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주요 내용

Part 04. 교수-학습방법
Chapter 01. 수업지도안
Ⅰ. 수업지도안의 의의
Ⅱ. 수업지도안 단계별 주요 활동

Chapter 02. 수업기법
Ⅰ. 강의
Ⅱ. 발문
Ⅲ. 토의(론)학습
Ⅳ. 역할놀이
Ⅴ. 시뮬레이션 학습
Ⅵ. NIE(신문활용학습)
Ⅶ. 온라인 학습

Chapter 03. 지식의 구조 및 기능 학습
Ⅰ. 지식의 구조 학습 개관
Ⅱ. 개념학습모형
Ⅲ. 일반화 학습
Ⅳ. 탐구수업모형

Chapter 04. 기능학습
Ⅰ. 기능의 개념과 종류
Ⅱ. 사회참여 학습
Ⅲ. 고차사고력 학습

Chapter 05. 가치수업모형
Ⅰ. 가치교육 개관
Ⅱ. 인지적 측면의 가치교육 방법
Ⅲ. 대안적인 가치교육 접근법

Chapter 06. 논쟁문제 수업모형
Ⅰ. 논쟁문제수업의 의의
Ⅱ. 논쟁문제 수업의 유형
Ⅲ. 논쟁문제에 대한 교사의 역할
Ⅳ. 논쟁문제 수업의 실천

Chapter 07. 의사결정 학습모형
Ⅰ. 의사결정 학습모형의 의의
Ⅱ. 의사결정 학습모형의 유형

Chapter 08. 협동학습모형
Ⅰ. 협동학습의 의미
Ⅱ. 협동학습의 기본원리
Ⅲ. 협동학습의 구조
Ⅳ. 협동학습의 특징
Ⅴ. 협동학습에 대한 평가
Ⅵ. 협동학습의 유형
Ⅶ. 사회과 교육에서 중시하는 협동학습모형
Chapter 09. 협동학습 유형
Ⅰ. STAD(Student Teams Achievement Division) 모형
Ⅱ. 직소 모형
Ⅲ. Pro-con 모형
Ⅳ. 마시알라스와 허스트의 집단의사 결정모형
Ⅴ. 스탈의 의사결정 학습모형
Ⅵ. 시뮬레이션 게임 협동학습모형

Part 05. 사회과 평가
Chapter 01. 사회과 평가 이해
Ⅰ. 사회과 평가의 의의 및 원리
Ⅱ. 사회과 평가의 주요 변화
Ⅲ. 사회과 평가 기준 및 형태

Chapter 02. 사회과 평가 방안
Ⅰ. 수행평가에 대한 이해
Ⅱ. 교육과정과 수행평가
Ⅲ. 수행평가의 유형

Part 06. 사회과 교육의 새로운 쟁점
Chapter 01. 사회과 교사의 전문성
Ⅰ. 사회과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실천
Ⅱ. 사회과 교사의 수업 전문성에 대한 이해

Chapter 02. 범교과 주제
Ⅰ. 다문화교육
Ⅱ. 세계시민교육
Ⅲ. 양성평등교육
Ⅳ. STS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