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1. 기존의 설명과 표현 중 자연스럽지 못하거나 전달이 명확하지 않은 부분을 수정하고 보완하였다.
2. 이론의 각 주제별로 수록된 기존 예제들을 삭제하여 이론 중심의 수험서가 되도록 하였다.
3. 이론의 각 주제별로 서두에 대표적 기출문제를 배치함으로써 이론 학습의 방향성을 잃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각 기출문제의 해설을 별도로 모아두어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했다.
4. 기존의 이론 주제 중에서 출제 빈도가 낮은 내용들은 개정 과정에서 삭제하였다. 이런 부분들은 수업을 통해 보충할 예정이다.
5. 국제경제학 분야를 국제무역론과 국제금융론으로 분리하여 각각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에 포함시켰다.
6. 이론의 설명만으로는 학습하기 어려운 내용들은 예제를 통해 학습할 수 있다고 생각하여 제5판에 관련 중요 예제들을 함께 수록하였는데, 이것이 수험생들에게 막연한 분량 부담을 준 듯하다. 이번 개정작업에서 예제들을 덜어내어 책을 가볍게 만들고자 했으며, 학습에 필요한 예제들은 수업용 부교재 형태로 제공할 예정이다.

목차

제0 1장 거시경제학의 기초 2
1-1 거시경제학의 기초     3
1-2 장기와 단기의 비교     6
1-3 실질변수와 명목변수의 비교       7
1-4 고전학파와 케인즈학파의 비교        9
1-5 거시경제학에서 등장하는 3가지 역설       23
 
제 1부 거시경제학의 기본모형 27
제02장 IS-LM 모형(총수요 분석) 28
2-1 IS곡선      29
2-2 LM곡선        33
2-3 IS-LM 동시균형      38
2-4 인플레이션 기대를 고려한 IS-LM 모형       40
제03장 AS-AD 균형 42
3-1 AD곡선의 도출       43
3-2 AS곡선의 도출       46
3-3 단기적 균형과 장기적 균형       53
 
 
제2부 정책효과의 분석 63
제04장 경제 안정화 정책의 기본 64
4- 1 총수요 관리정책 일반론      65
4-2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의 상대적 유효성      71
제05장 재정정책(Fiscal Policy) 76
5-1 구축효과        77
5-2 리카도 대등정리      79
5-3 재정적자와 정부부채, 재정준칙      84
제06장 통화정책(Monetary Policy) 88
6- 1 통화정책의 수단      89
6-2 중간목표 논쟁      90
6-3 정책효과의 전달경로      93
6-4 물가안정 목표제     100
6-5 중간목표전략과 정보변수전략      102
6-6 선제적 정책의 필요성       105
6-7 테일러 준칙      106
6-8 자산시장과 통화정책        109
6-9 자산시장과 일본의 장기불황       111
6-10 최적정책의 비일관성 문제        113
 
 
제3부 실업과 인플레이션 119
제07장 실업과 실업률 120
7-1 실업의 종류와 개념        121
7-2 자연실업률 논의     125
7-3 우리나라의 실업률 통계        131
제08장 인플레이션 134
8-1 인플레이션       135
8-2 인플레이션과 이자율        139
8-3 인플레이션 조세     142
제09장 필립스 곡선 144
9- 1 필립스 곡선의 도출        145
9-2 학파별 필립스 곡선 논의       147
 
 
제4부 거시경제학의 미시적 기초 157
제10장 소비함수 158
10-1 소비함수의 일반론        159
10-2 생애소득이론       163
10-3 항상소득이론       166
10-4 소비의 과잉민감성 및 과잉둔감성 현상      171
10-5 불확실성과 소비    173
제1 1장 투자함수 176
11-1 투자 일반론     177
11-2 순현재가치법과 내부수익률법     179
11-3 자본의 사용자비용 모형       182
11-4 다기간 최적화 원리에 의한 투자이론     185
11-5 토빈의 이론       187
11-6 불확실성과 투자    189
11-7 신용제약과 투자    191
제12장 노동시장 194
12-1 다기간 최적화에 의한 노동시장 분석     195
12-2 새케인즈학파의 경직성 모형      199
12-3 효율성 임금 모형       200
12-4 내부자외부자
이론        203
12-5 암묵적 고용계약 모형      205
제13장 화폐와 금융 208
13-1 화폐시장의 기초    209
13-2 화폐시장의 균형(단기vs장기)     211
13-3 화폐수량설      214
13-4 Baumol과 Tobin의 현금재고관리 모형      217
13-5 Tobin의 포트폴리오 모형        220
13-6 화폐공급의 분석    223
13-7 하이퍼인플레이션과 뱅크런       226
13-8 통화증가율 변화와 인플레이션       230
13-9 이자율의 만기구조와 수익률 곡선    233
13-10 이자율의 위험구조        238
 
 
제5부 국민경제의 동태적 변화 241
제14장 경기변동이론 242
14- 1 경기변동론 개관            243
14-2 화폐적 경기변동이론       246
14-3 실물적 경기변동이론       248
14-4 RBC의 주요 논쟁사항        255
14-5 새케인즈학파의 경기변동이론     259
제1 5장 경제성장이론 262
15-1 경제성장 일반론    263
15-2 솔로우 성장모형    264
15-3 내생적 성장모형    274
 
 
제6부 개방거시경제론 283
제16장 국제금융론 284
16- 1 개방경제의 거시적 분석의 기초      285
16-2 환율 변화와 경상수지      292
16-3 환율결정이론       295
16-4 IS-LM-BP 모형(먼델-플레밍 모형)      301
16-5 국가간 정책효과의 파급과 협조      310
16-6 삼각의 딜레마(불가능성 정리)       313
16-7 크루그먼의 DD-AA 모형(일반균형 모형)      316
16-8 IS-LM-IRP 모형       321
16-9 외환시장 개입의 효과 및 한계       323
16-10 자본자유화의 효과        328
16-11 금융시장에 대한 외국자본 유입 문제       332
16-12 최적통화지역 논의        3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