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한국사를 공부하는 수험생들에게 강한국사가 제안하는 가장 좋은 공부 방향


1. 수험과목이 국사에서 한국사로 바뀌면서 문제의 경향도 9,7급 경계가 없어지고 있다.
2. 이런 추세에 맞게 고등학교 교과서의 개정 내용을 모두 반영하였으며 심화과정 부분도 심도있게 반영하였다.
3. 다른 수험생들보다 심화 학습이 잘된 수험생들은 더욱 유리한 고지를 점령하는 것이다.
4. 수능 문제가 출제되면서 자료를 통한 추론과 이해력을 묻는 문제가 많이 출제되는데, 그 경향에 맞추어 교재에 참고․그림․표․읽기자료 등을 충분히 실어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5. 최근에 실시된 국가직이나 지방직 공무원 시험에서 근현대사의 출제 비중이 30~40%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능 시험에서도 한국 근현대사의 출제를 필수로 포함시켰다. 이러한 경향으로 보았을때 근현대사의 출제 비중은 더욱 커지리라 예상됨으로 근현대사의 흐름의 이해를 통한 완벽한 암기가 필요하다.
6. 역사는 원인, 경과, 결과의 과정이 있기 때문에 이해 위주로 학습해야 하고, 주어진 상황을 전개시켜 가는 과정에서 제시되는 개념이나 인명, 연대 등을 암기해야 한다.


고통이 클수록 추억은 아름답고 소중한 것입니다.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수험 대책은 수험생 여러분들 자신에 대한 확신과 의지입니다. 마음속으로 수없이 많은 갈등을 겪으면서도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자신의 미래상과 그에 따른 철저한 목표 의식인 것입니다. 고통을 겪는 과정에서 수험생들의 목표도 열매를 맺을 것입니다


목차
PART 06 근대 사회의 전개(흐름)
 
CHAPTER 01 근대의 정치
 제1절 외세의 침략적 접근과 개항 ············10
 제2절 개화 운동과 자주 운동 ·····28
 제3절 동학 농민 운동(전쟁)과 근대적 개혁의 추진 ·········51
 제4절 주권 수호 운동의 전개 ·····73
 제5절 일제의 국권 침탈과 구국 민족 운동의 전개 ·········98
 실전 능력 기르기 ··············127
 
CHAPTER 02 근대(개항 이후)의 경제와 사회
 제1절 근대(개항 이후)의 경제 ··············137
 제2절 근대의 사회 ·············152
 실전 능력 기르기 ··············161
 
CHAPTER 03 근대의 문화
 제1절 근대 문물의 수용과 발전 ·············162
 제2절 문예와 종교의 새 경향 ··············176
 실전 능력 기르기 ·············185
 
PART 07 민족의 독립운동
 
CHAPTER 01 민족의 수난
 제1절 일제의 식민 정책 ·········190
 제2절 식민지 수탈 정책 ·········201
 실전 능력 기르기 ·············215
 
CHAPTER 02 항일 민족 운동
 제1절 1910년대 국내외의 항일 민족 운동과 3․1 운동 ··············218
 제2절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수립과 활동(1919~1945) ·····241
 제3절 1920년대 이후의 국내외의 항일 민족 운동 ········252
 실전 능력 기르기 ·············278
 
CHAPTER 03 일제 강점기의 사회․경제적 민족 운동
 제1절 사회적 민족 운동의 전개 ············283
 제2절 민족 실력 양성 운동의 전개 ··········303
 제3절 일제 강점기 사회의 변화 ············311
 실전 능력 기르기 ·············315
 
CHAPTER 04 일제의 식민지 문화 정책과 민족 문화 수호 운동의 전개
 제1절 일제의 식민지 문화 정책 ·············317
 제2절 국학 운동의 전개 ········323
 실전 능력 기르기 ·············343
 
PART 08 현대 사회의 발전
 
CHAPTER 01 현대의 정치
 제1절 광복과 남북의 분단 ·······346
 제2절 민주주의의 시련과 발전 ·············372
 제3절 북한의 변화와 통일을 위한 노력 ······422
 
CHAPTER 02 현대의 경제 성장과 사회의 발전
 제1절 현대의 경제 성장과 자본주의 발달 ·····438
 제2절 현대 사회의 발전 ·········451
 
CHAPTER 03 현대 문화의 성장과 발전
 제1절 한국학의 발전, 전통문화의 계승 ·······460
 제2절 언론과 교육 및 대중문화의 성장 ······463
 제3절 문학, 종교, 체육, 과학의 발달 ········468
 실전 능력 기르기 ·······472
 
역대 왕조 계보 / 4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