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의 특징

한국사를 공부하는 수험생들에게 강한국사가 제안하는 가장 좋은 공부 방향


1. 수험과목이 국사에서 한국사로 바뀌면서 문제의 경향도 9,7급 경계가 없어지고 있다.
2. 이런 추세에 맞게 고등학교 교과서의 개정 내용을 모두 반영하였으며 심화과정 부분도 심도있게 반영하였다.
3. 다른 수험생들보다 심화 학습이 잘된 수험생들은 더욱 유리한 고지를 점령하는 것이다.
4. 수능 문제가 출제되면서 자료를 통한 추론과 이해력을 묻는 문제가 많이 출제되는데, 그 경향에 맞추어 교재에 참고․그림․표․읽기자료 등을 충분히 실어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5. 최근에 실시된 국가직이나 지방직 공무원 시험에서 근현대사의 출제 비중이 30~40%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능 시험에서도 한국 근현대사의 출제를 필수로 포함시켰다. 이러한 경향으로 보았을 때 근현대사의 출제 비중은 더욱 커지리라 예상됨으로 근현대사의 흐름의 이해를 통한 완벽한 암기가 필요하다.
6. 역사는 원인, 경과, 결과의 과정이 있기 때문에 이해 위주로 학습해야 하고,
주어진 상황을 전개시켜 가는 과정에서 제시되는 개념이나 인명, 연대 등을 암기해야 한다.


고통이 클수록 추억은 아름답고 소중한 것입니다.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수험 대책은 수험생 여러분들 자신에 대한 확신과 의지입니다. 마음속으로
수없이 많은 갈등을 겪으면서도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자신의 미래상과 그에 따른 철저한 목표 의식인 것입니다. 고통을 겪는 과정에서 수험생들의 목표도 열매를 맺을 것입니다.

목차
목차

PART 01 한국사의 바른 이해, 선사 시대의 문화와 국가의 형성
 
CHAPTER 01 한국사의 바른 이해
 제1절 역사 학습의 목적 ·······12
 제2절 한국사와 세계사 ········15
 실전 능력 기르기 ···········32
 
CHAPTER 02 선사 시대의 문화
 제1절 한민족(韓民族)의 형성 ··············33
 제2절 선사 시대의 전개 ······35
 실전 능력 기르기 ···········45
 
CHAPTER 03 국가의 형성
 제1절 청동기 문화와 철기 문화 ············47
 제2절 고조선 ···············58
 제3절 여러 나라의 성장(군장국가와 연맹왕국) ···········66
 실전 능력 기르기 ···········80
 
PART 02 고대 사회
 
CHAPTER 01 고대의 정치
 제1절 고대 국가의 성립과 삼국의 정치적 발전 ··········86
 제2절 삼국 간의 항쟁과 대외 관계 ········113
 제3절 삼국의 통치 체제 ······115
 제4절 삼국의 대외 항쟁과 신라의 삼국 통일 ···········122
 제5절 남북국 시대의 정치 변화 ···········129
 실전 능력 기르기 ··········149
 
CHAPTER 02 고대의 경제
 제1절 삼국의 경제생활 ······160
 제2절 남북국 시대의 경제적 변화 ·········167
 실전 능력 기르기 ··········178
 
CHAPTER 03 고대의 사회
 제1절 신분제 사회의 성립 ···············180
 제2절 삼국 사회의 모습 ······183
 제3절 남북국 시대의 사회 ···············191
 실전 능력 기르기 ··········194
 
CHAPTER 04 고대의 문화
 제1절 고대 문화의 성격 ······195
 제2절 학문의 발달 ··········198
 제3절 사상과 종교의 발달 ···············207
 제4절 과학 기술의 발달 ······222
 제5절 고대인의 자취와 멋 ···············226
 제6절 일본으로 건너간 우리 문화 ·········250
 실전 능력 기르기 ··········254
 
PART 03 중세 사회
 
CHAPTER 01 중세의 정치
 제1절 중세 사회의 성립 ·····260
 제2절 국가 체제의 확립 ······267
 제3절 통치 체제의 정비 ······278
 제4절 문벌 귀족 사회의 성립과 동요 ······296
 제5절 대외 관계의 변화 ·····309
 제6절 고려 후기의 정치 변동 ············322
 실전 능력 기르기 ··········334
 
CHAPTER 02 중세의 경제
 제1절 경제 정책 ············341
 제2절 경제 활동의 진전 ······351
 실전 능력 기르기 ··········363
 
CHAPTER 03 중세의 사회
 제1절 사회 구조 ···········364
 제2절 백성들의 생활 모습 ···············374
 실전 능력 기르기 ··········382
 
CHAPTER 04 중세의 문화
 제1절 유학의 발달과 역사서의 편찬 ·······383
 제2절 불교 사상과 신앙 ······397
 제3절 과학 기술의 발달 ······410
 제4절 귀족 문화의 발달 ······415
 실전 능력 기르기 ··········430
 
PART 04 근세 사회
 
CHAPTER 01 근세의 정치
 제1절 근세 사회의 성립과 전개 ··········438
 제2절 통치 체제의 정비 ·····453
 제3절 사림의 대두와 붕당의 발생 ·········475
 제4절 조선 초기의 대외 관계 ············485
 제5절 양난의 극복 ··········491
 실전 능력 기르기 ··········502
 
CHAPTER 02 근세의 경제
 제1절 경제 정책 ···········507
 제2절 양반과 평민의 경제 활동 ···········521
 실전 능력 기르기 ··········529
 
CHAPTER 03 근세의 사회
 제1절 양반 관료 중심의 사회 ············531
 제2절 사회 정책과 사회 시설 ············538
 제3절 향촌 사회의 조직과 운영 ··········544
 실전 능력 기르기 ··········552
 
CHAPTER 04 근세의 문화
 제1절 민족 문화의 융성 ·····553
 제2절 성리학의 발달 ········569
 제3절 불교와 민간 신앙 ······575
 제4절 과학 기술의 발달 ·····580
 제5절 문학과 예술 ··········587
 실전 능력 기르기 ··········599
 
PART 05 근대 태동기
 
CHAPTER 01 근대 태동기의 정치
 제1절 근대 사회로의 이행 ···············604
 제2절 통치 체제의 변화 ·····606
 제3절 붕당 정치의 전개와 탕평 정치 ······6 1 1
 제4절 정치 질서의 변화 ·····630
 제5절 대외 관계의 변화 ·····634
 실전 능력 기르기 ··········639
 
CHAPTER 02 근대 태동기의 경제
 제1절 수취 체제의 개편 ·····643
 제2절 서민 경제의 발달 ·····654
 제3절 상품 화폐 경제의 발달 ············668
 실전 능력 기르기 ··········679
 
CHAPTER 03 근대 태동기의 사회
 제1절 사회 구조의 변동 ······681
 제2절 향촌 질서의 변화 ······691
 제3절 사회 변혁의 움직임 ···············694
 실전 능력 기르기 ··········710
 
CHAPTER 04 근대 태동기의 문화
 제1절 성리학의 변화 ········713
 제2절 실학의 발달 ··········722
 제3절 과학 기술의 발달 ······746
 제4절 문화의 새 경향 ·······752
 실전 능력 기르기 ···········7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