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의 특징

국가직, 지방직, 법원직, 경찰직, 국회직 등등 국가 주관 공무원 고시 한국사에서 출제한 모든 기출 지문을 테마와 주제에 맞게 정리하였습니다.

1. 오태진 기출총정리의 문제가 너무 많아서, 또 시간이 부족한 수험생들이 한국사 기출을 빠르게 여러 번 반복할 수 있어 시험 직전 정리용 교재로 가장 좋습니다.

2. 실제로 시험에 나오지 않는 쓸데없는 개념은 모두 제거하여 시간 낭비를 줄이게 해드렸습니다.

3. 맞는 문장으로 출제한 지문뿐만 아니라, 틀리게 낸 지문들도 주제에 맞게 한데 모아놓았습니다.

4. 따라서 출제 위원들이 어떤 부분을 틀리게 내는지를 확실하게 알 수 있습니다.

5. 의미는 같은데 문장을 다르게 표현한 부분을 주제에 맞게 묶어 놓았기 때문에 한국사 개념을 잘못 해석하거나 오해하지 않고 스스로 공부할 수 있게 도와드립니다.

목차

1 역사학의 바른 이해

1역사학의 연구 방법론 4

01 역사의 의미 4

02 역사 학습의 목적 4

03 한국사의 바른 이해 4

2한국사의 사관(史觀) 6

01 일제의 식민사관 6

02 민족주의 사관 6

03 사회 경제 사관 9

04 실증주의 사학 9

 

2 문명의 형성과 고조선의 성립

1선사 시대의 전개 14

01 한반도의 구석기 시대 14

02 돌을 갈아서 사용한 신석기 시대 16

2고조선의 성립과 발전 19

01 청동기 문화가 나타나다 19

02 최초의 국가 고조선이 성립하다 22

03 고조선의 발전 23

3여러 나라의 발전 27

01 초기 국가의 발전 27


3 고대 사회의 발전

1고대 국가의 정치적 발전 36

01 고대 국가의 성립 36

02 남북국 시대의 정치 54

2고대의 경제 68

01 삼국 시대의 경제 생활 68

02 남북국 시대의 경제적 변화 69

3고대의 사회 73

01 삼국 시대 73

4고대의 문화 76

01 고대의 신앙과 학문 76

02 고대의 과학과 예술 82

      

4 중세 사회의 성립

1고려의 정치 90

01 후삼국과 민족의 재통일 90

02 고려 전기의 정치적 변화 91

03 문벌 귀족 사회의 성립과 동요 97

04 고려 전기의 통치 체제 99

05 무신 정권 104

06 고려의 대외 관계 107

07 고려 후기 정치 상황의 변동 111

2고려의 경제 117

01 경제 정책 117

02 고려 시대의 경제 활동 122

3고려의 사회 126

01 신분제도 126

02 백성의 생활 모습 130

4고려의 문화 135

01 불교 사상과 신앙 135

02 유학의 발달 141

03 귀족 문화의 발달 147

    

5 근세 사회의 성립

1경국대전 체제의 성립 156

01 조선의 건국 156

02 조선 정치 체제의 정비 157

03 조선 전기 경국대전 체제 168

04 조선 전기의 대외 관계 176

05 사화의 발생 177

06 붕당(사림) 정치 180

07 일당 전제화의 대두와 탕평책 190

08 세도 정치의 전개 199

09 조선 후기 체제 정비 201

2조선의 경제 208

01 토지 제도 208

02 조세 제도 212

03 조선의 경제 활동 218

3조선의 사회 229

01 양반 관료 중심의 사회 229

02 향촌 사회의 조직과 운영 234

03 사회 정책과 가족 제도 238

04 사회 변혁의 움직임 241

4조선의 문화 244

01 성리학 통치 이념의 정착 244

02 주자성리학 VS 실학양명학 248

03 불교와 민간 신앙 259

04 역사서의 편찬 259

05 지도, 지리서, 법전, 백과사전 267

06 문학 271

07 건축 272

08 공예(도자기) 274

09 그림과 글씨, 음악 274

10 과학 277

11 한국의 세계 유산 278

 

6 근대 사회의 성립

1외세의 침략적 접근과 개항 284

01 흥선대원군의 집권 284

02 개항과 개화 정책의 추진 287

03 동학 농민 운동 297

04 갑오개혁과 을미개혁 301

05 독립협회와 대한제국(광무개혁) 305

06 일제의 국권 침탈 313

07 애국 계몽 운동 320

2근대 문물의 수용 323

01 근대 문물과 시설 323

02 언론 기관 324

03 근대 교육과 국학 연구 326

04 종교의 새 경향 328

7 일제의 식민 통치와 민족의 독립 운동

1일제의 식민지 정책 332

01 무단 통치 332

02 민족 분열 통치 336

03 민족 말살 통치 338

 

2민족의 독립 운동 343

01 1910년대 국내외의 독립 운동 343

02 31 운동 348

03 대한민국 임시정부 350

04 31 운동 이후 국외의 독립 전쟁의 전개 357

05 31 운동 이후 국내의 독립 운동 368

06 민족 문화 수호 운동 376

07 일제 강점기의 사회 변화 379


8 분단국가의 성립과 통일을 위한 노력

1해방 이후 통일국가의 수립 운동과 실패 384

01 건국 준비 활동과 815 해방 384

02 분단 국가의 수립 393

2대한민국의 경제 발전과 민주주의 399

01 이승만 정권-1공화국 399

02 장면 내각-2공화국 409

03 박정희 정부의 성립 411

04 전두환 정부(5공화국, 1981~1987) 418

05 노태우 정부-6공화국 421

06 김영삼 정부-문민 정부 422

07 김대중 정부-국민의 정부 423

3한반도 통일 정책 427

01 장면 정부 427

02 박정희 정부 427

03 전두환 정부 428

04 노태우 정부 429

05 김영삼 정부 430

06 김대중 정부 430

07 노무현 정부(2003. 2. 25) 431

08 문재인 정부 431

4북한 정권의 성립 432

01 북한의 정권 수립 과정 432

02 기타 432

03 남한에 대한 도발 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