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의 특징

군 간부에 대한 사회인식과 처우개선 등의 결과로 군을 지원하는 사람들이 남녀 구분 없이 날로 늘어가는

추세 속에 있습니다. 군이 부각되는 이유는 사회에서 취업 문제와 깊은 연관성이 있으며,현실적으로 취업하기가

점점 힘들다 보니 결국 남녀 모두 군으로 눈을 돌리게 되었고,결국 군 간부도 무한 경쟁의 소용돌이 속에 놓인

상황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일반시험처럼 정보가 공유되는 게 아니라 은닉된 상황에서도 군은 KIDA(국방연구원)을 통해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문제를 출제함으로써 일반인에게 쉽게 정보를 노출시키지 않으므로 군 간부시험을 치루는 많은

수험생들에게 어려움을 주고 있습니다.

 2009년 육군의 직무적성검사를 필두로 2010년 해군, 공군의 인지능력평가, 3년 여의 기간 동안 군으로부터

의뢰를 받아 태어난 이 평가들은 기존의 국,영,수 시험을 통한 평가 방법들과는 전혀 다른 평가 방법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평가는 이미 90년대초 일반 대기업들이 직무적성검사를 입사시험문제로 채택하면서부터

언젠가는 국가고시에도 도입될 거라는 예상을 했고, 2010년부터 본격적으로 행정고시, 외무고시에

인지능력평가들이 도입되면서 군도 같은 시기에 전면적으로 도입. 시행되기에 이르렀습니다.

 군의 시험은 초창기 군별(육.해.공군)로 약간의 난이도 차이를 냈으나 현재는 거의 평준화 된 상태입니다.

 그중에서도 지각속도와 공간능력은 군별 상관없이 모든 군의 장교,준사관, 부사관 시험에 난이도 및 형태가

동일하게 출제되고 있습니다.

 여기까지 오면서 KIDA에서도 수차례 문제 형태가 개정되고 재개정되어 나온 만큼, 이 책을 집필하는 과정에서도

지각속도의 경우 기존문제 형태의 작은 변화로 재집필하는 과정을 겪었고,앞으로도 문제 변화의 가능성은

내재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육.해.공군의 처음부터 현재까지 문제변화의 추이를 계속적으로 주시하고 있었던만큼 더 이상의 큰

문제 변화는 없을 것 같습니다.

 초기 지각속도와 공간능력 문제는 현재의 문제수준보다 어려웠고 점점 쉽게 출제되어 현재의 수준에 도달한

만큼 다시 초기 문제 수준으로 돌아갈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봅니다.

 이 책은 지각속도는 거의 동일하게,공간능력은 지도의 건물명을 실제 시험보다 많이 넣어 약간 어렵게

집필했습니다.

부사관 시험문제를 확인하고 이 책 내용에서 빗겨나가지 않는 걸 최종적으로 확인하고 이 책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목차

Chapter 01 언어논리력평가

 1.언어의미

 2.접속사

 3.논설문

 4.논리적 오류의 종류

 

Chapter 02 자료해석평가

 


Chapter 03 지각속도평가

 제1회 모의고사 ~ 제20회 모의고사

 

Chapter 04 공간지각평가

 제1회 모의고사 ~ 제7회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