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의 특징

• 수험 출제 원리를 꿰뚫었다!
• 최신 경향 및 출제 포인트를 완벽하게 분석한 최적의 수험서


카페 : ‘오대혁과 함께하는 고갱이 국어’ cafe.daum.net/odhk


목차
[1권] 국문법&어문 규정
 
01. 언어와 국어
 
   Ⅰ. 언어의 본질
      1. 언어의 정의
      2. 언어의 본질과 기능
      3. 언어와 인간
 
   Ⅱ. 국어와 한글
      1. 국어의 특질
      2. 위대한 문화유산, 한글
      3. 북한 말의 특징
      * 고갱이 문제
 
 
02. 국문법의 이해
 
   Ⅰ. 말소리
      1. 음운과 음운 체계
      2. 음절
      3. 음운의 변동
      * 고갱이 문제
 
   Ⅱ. 단 어
      1. 형태소와 단어
      2. 단어의 형성
      3. 품사
      * 고갱이 문제
 
   Ⅲ. 어 휘
      1. 어휘의 체계
      2. 어휘 양상
      * 고갱이 문제
 
   Ⅳ. 문 장
      1. 문장의 성분
      2. 문장의 짜임
      3. 문법요소
 
   Ⅴ. 의 미
      1. 언어와 의미
      2. 단어들의 의미 관계
      3. 의미의 사용
 
   Ⅵ. 이야기
      1. 이야기의 개념
      2. 이야기의 요소
      3. 이야기의 짜임
      * 고갱이 문제
 
 
03. 어문 규정과 바른 국어 생활
 
   Ⅰ. 표준어와 표준 발음
      1. 표준어 규정
      * 고갱이 문제
      2. 표준 발음법
      * 고갱이 문제
 
   Ⅱ. 한글 맞춤법
      문장 부호 규정
     * 고갱이 문제
 
   Ⅲ. 외래어 표기법
 
   Ⅳ. 국어의 로마자 표기
 
   Ⅴ. 바른 말 좋은 글
      1. 말 다듬기
      2. 문장 다듬기
 
   Ⅵ. 언어 예절
      1. 여러 가지 인사법
      2. 호칭어와 지칭어
      * 고갱이 문제
 
 
[2권] 한자&논리적인 글
 
04. 속담·관용어와 한자
 
   Ⅰ. 속담과 관용어
 
   Ⅱ. 한자
      1. 한자의 기본
      2. 한자어의 구조와 주요 단어
      3. 중요 허사의 용법
      4. 공무원 시험을 위한 기초 한자어
      5. 음독에 주의해야 할 한자
      6. 동자이음(同字異音)의 한자
      7. 모양이 비슷한 한자들
      8. 기출한자 50
      9. 최신 기출 한자
      10. 동음이의(同音異義)의 한자어
      11. 誤讀(오독)이 念慮(염려)되는 漢字
 
   Ⅲ. 한자성어
      1. 주제별 한자성어
      2. 최신 기출 한자성어
      3. 한자성어 사전
 
   Ⅳ. 한문 강독
      1. 學問(학문)
      2. 兄弟投金(형제투금)
      3. 矛盾(모순)
      4. 狐假虎威(호가호위)
      5. 論語抄(논어초)
      6. 孟子抄(맹자초)
      7. 繼善(계선)
      8. 五十步百步(오십보백보)
      * 고갱이 문제
 
 
05. 말하기와 읽기·쓰기·독해
 
   Ⅰ. 말하기와 읽기
      1. 말하기
      2. 읽기
      * 고갱이 문제
 
   Ⅱ. 쓰기
      1. 쓰기의 과정
      2. 좋은 글과 문장 쓰기
      3. 단락(문단) 쓰기
      4. 글의 진술 방식
      5. 논리의 오류(誤謬)
      * 고갱이 문제
 
   Ⅲ. 글의 독해
      1. 독해의 원리
      2. 요약하기와 주제 찾기
      3. 여러 종류 글의 독해
      * 고갱이 문제
 
 
[3권] 문학의 이해
 
06. 문학 일반의 이해
 
   Ⅰ. 문학의 일반적 의미
      1. 문학의 정의
      2. 문학의 기원
      3. 문학의 갈래(Genre)
      4. 문학의 기능
      5. 문학의 가치
      6. 문학과 미의식
      7. 문체(文體, style)
 
   Ⅱ. 문학의 가치평가
      1. 문학 비평의 개념
      2. 비평의 과정
      3. 비평의 관점
      4. 비평의 방식
 
   Ⅲ. 문예사조의 이해
      1. 문예사조의 개념
      2. 서양 문예 사조의 근원과 계보
      3. 서양 문예 사조의 전개와 그 특질
      4. 한국 문예 사조의 흐름
 
   Ⅳ. 표현기법의 이해
      1. 비유법(譬喩法)
      2. 강조법(强調法)
      3. 변화법(變化法)
      * 고갱이문제
 
 
07. 주요 갈래의 이해
 
   Ⅰ. 시의 이해
      1. 시의 정의
      2. 시의 특성
      3. 시의 요소
      4. 시의 갈래
      5. 시어의 특징
      6. 시의 운율(韻律)
      7. 시의 심상(心象, Image)
      8. 비유와 상징
      9. 시의 어조
      10. 현대 시조
      11. 시 해석에 자주 등장하는 용어
      * 고갱이문제
 
   Ⅱ. 소설의 이해
      1. 소설의 개념
      2. 소설의 기원
      3. 소설의 요소
      4. 소설 구성 요소와 인물
      5. 소설의 시점과 거리
      6. 소설의 갈래
      * 고갱이 문제
 
   Ⅲ. 희곡과 시나리오의 이해
      1. 희 곡
      2. 시나리오
      * 고갱이문제
 
   Ⅳ. 수필의 이해
      1. 수필의 개념
      2. 수필의 역사
      3. 수필의 특성
      4. 수필의 제재(題材)
      5. 수필의 주제와 소재, 제재의 관계
      6. 수필의 갈래
      7. 수필의 표현 방법
      8. 수필과 소설의 공통점과 차이점
      * 고갱이문제
 
 
08. 한국 문학사
 
   Ⅰ. 국문학 총론
      1. 한국 문학의 개념
 
   Ⅱ. 고전 문법
      1. 우리 말이 걸어온 길
      2. 문 법
      3. 교과서 자료 분석
      * 고갱이문제
 
   Ⅲ. 고전 시가문학사의 이해
      1. 고대 가요(古代歌謠)
      2. 향가(鄕歌)
      3. 고려 가요(高麗歌謠)
      4. 경기체가(景幾體歌)
      5. 악장(樂章)
      6. 언해(諺解)
      7. 시조(時調)
      8. 가사(歌辭)
      9. 잡가(雜歌)
      10. 한시(漢詩)
      * 고갱이문제
 
   Ⅳ. 고전 서사문학사의 이해
      1. 설화(說話)
      2. 고소설 형성 전사(前史)
      3. 고소설의 전개 양상과 특징
 
   Ⅴ. 고전 극·교술문학사의 이해
      1. 판소리
      2. 민속극
      3. 고전 수필
      * 고갱이문제
 
   Ⅵ. 현대 시문학사의 이해
      1. 개화기 시가
      2. 1910년대의 현대시
      3. 1920년대의 현대시
      4. 1930년대~광복 이전의 현대시
      5. 광복 이후의 현대시
 
   Ⅶ. 현대 서사문학사의 이해
      1. 개화기~1910년대 소설
      2. 1920년대 소설
      3. 1930년대 소설
      4. 1940년대~광복 이전의 소설
      5. 광복 직후의 소설
      6. 1950년대 소설
      7. 1960년대 이후의 소설
 
   Ⅷ. 현대 극·수필문학사의 이해
      1. 현대 희곡 문학사
      2. 현대 수필 문학사
      * 고갱이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