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의 특징

[이 책의 강점}
1. 교원임용고시 대비 답안 작성 중심으로 편제
2. 방대한 교육학의 다양한 내용을 빠짐없이 정리
3. 합격을 위한 필수사항 정리


(머리말)
교육학은 교육에 대한 이해, 교직에 대한 이해, 학습자에 대한 이해, 교육내용 선정․조직․평가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 교육학은 교육학개론, 교육철학 및 교육사, 교육과정, 교육평가,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육심리, 교육사회,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생활지도 및 상담의 9개 과목으로 편성되어 있다.
교육학의 학습은 각 영역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기본 용어, 개념, 이론들을 체계화하여야 한다. 즉, 교육학은 정확한 교육학적 개념이나 용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각 영역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기본 개념, 용어들을 명확하게 이해하는 체계적인 공부가 필요하다. 또한 잘 이해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들을 잘 체계화하고, 구조화하여 어떤 문제에도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
교육학에서는 2개 이상의 영역들을 서로 연관시켜 교육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안목을 형성한다. 교육학은 여러 분야의 지식과 이론들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종합 학문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교육 문제는 심리학과 사회학, 사회학과 교육과정, 철학과 교육방법 등이 서로 결합되어 종합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최근의 트렌드이다. 따라서 교육학 문제를 보다 다양한 관점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통섭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이런 통합적이고 융합적인 지식과 이해를 통해 교육문제를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교육학의 지식, 이론 및 원리들을 실제 학교현장과 관련지어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교육학은 실전학에서 비롯되었고, 교육 현실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교육적 소양을 기르는 분야이다. 따라서 교육학적 지식, 이론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이를 학교현장과 관련시켜 사고할 수 있어야 한다.
실제 교육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들은 다 영역적 지식과 안목을 통해 이해, 해석된다는 사실을 이해한다. 최근 학교 현장은 수많은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고, 교사는 문제해결을 요구받고 있다. 이러한 실제 교육현장 문제와 해결을 위해서는 상담능력과 컨설팅 능력 등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교육학적 소양과 지식이 요구된다는 것을 이해하고, 교육학적 지식은 항상 실제 상황과 연계하여 학습하여야 함을 명심해야 한다.


여러분과의 만남과 그리고 합격을 기원하며.
- 2020. 11. 신명 교수 올림


목차
PART 01 교육과정
 
CHAPTER 01 교육과정의 이해  08
CHAPTER 02 교육과정 이론 모형  10
CHAPTER 03 교육과정 설계 모형  13
CHAPTER 04 교육과정 계획(개발)  20
CHAPTER 05 교육과정 통합  22
CHAPTER 06 잠재적 교육과정과 영 교육과정   23
CHAPTER 07 교육과정 재개념주의  26
CHAPTER 08 한국의 교육과정  27
 
PART 02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CHAPTER 01 교수와 교수이론의 의미  38
CHAPTER 02 개별화 교수  40
CHAPTER 03 설명적 교수  44
CHAPTER 04 발견 및 탐구 교수  47
CHAPTER 05 처방적 교수  51
CHAPTER 06 협동학습  58
CHAPTER 07 학교수업형태  64
CHAPTER 08 교육공학 및 교수설계  68
CHAPTER 09 교수매체  75
CHAPTER 10 컴퓨터의 교육적 활용  78
 
PART 03 교육평가(교육연구법 및 교육통계)
 
CHAPTER 01 교육평가의 이해  86
CHAPTER 02 교육평가의 모형  91
CHAPTER 03 검사문항의 제작과 형태  93
CHAPTER 04 문항분석  95
CHAPTER 05 측정 및 평가도구의 구비조건  98
CHAPTER 06 교육평가 유형  102
CHAPTER 07 수행평가  106
CHAPTER 08 교육연구 방법  108
CHAPTER 09 교육통계  114
 
PART 04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CHAPTER 01 교육행정의 개념  122
CHAPTER 02 교육행정이론의 발달  127
CHAPTER 03 교육행정조직  132
CHAPTER 04 동기이론  145
CHAPTER 05 지도성 이론  148
CHAPTER 06 교육기획과 교육정책  152
CHAPTER 07 의사결정 및 의사소통 모형  158
CHAPTER 08 교원인사행정  163
CHAPTER 09 장학이론  165
CHAPTER 10 교육재정  169
CHAPTER 11 학교경영  173
CHAPTER 12 학급경영  177
 
PART 05 서양교육사
 
CHAPTER 01 그리스 문화와 교육의 특징  182
CHAPTER 02 로마 문화와 교육의 특징  186
CHAPTER 03 중세 문화와 교육의 특징  188
CHAPTER 04 르네상스와 인문주의 교육  191
CHAPTER 05 종교개혁과 교육  194
CHAPTER 06 실학주의와 교육  195
CHAPTER 07 계몽주의와 자연주의 교육  199
CHAPTER 08 신인문주의와 교육  203
CHAPTER 09 20세기 이후의 교육  206
 
PART 06 한국교육사
 
CHAPTER 01 삼국시대의 교육  212
CHAPTER 02 고려시대의 교육  215
CHAPTER 03 조선시대의 교육  218
CHAPTER 04 실학사상과 교육  222
CHAPTER 05 근대의 교육  224
CHAPTER 06 일제 강점기의 교육  226
CHAPTER 07 해방 이후의 교육  229
 
PART 07 교육심리학
 
CHAPTER 01 교육심리학과 심리학  232
CHAPTER 02 현대 교육심리학 이론  233
CHAPTER 03 인간 발달의 이해  235
CHAPTER 04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239
CHAPTER 05 비고츠키의 역사⋅사회적 인지발달  243
CHAPTER 06 성격 발달이론  244
CHAPTER 07 도덕성 발달이론  247
CHAPTER 08 학습과 학습이론  249
CHAPTER 09 지능  253
CHAPTER 10 창의성  256
CHAPTER 11 학습동기  259
CHAPTER 12 성취동기  262
CHAPTER 13 학습의 전이  264
CHAPTER 14 인지양식  266
CHAPTER 15 적응(정신위생)  268
CHAPTER 16 특수 학습자  271
 
PART 08 교육사회학, 교사론
 
CHAPTER 01 교육사회학의 성립과 전개과정  274
CHAPTER 02 교육사회학 이론  276
CHAPTER 03 신교육사회학  282
CHAPTER 04 교육과 사회, 문화와의 관계  284
CHAPTER 05 사회집단과 교육  288
CHAPTER 06 학교사회와 교육  290
CHAPTER 07 학교비판론  292
CHAPTER 08 사회이동과 교육  293
CHAPTER 09 학력상승과 학교팽창론  294
CHAPTER 10 교육평등과 사회평등  296
CHAPTER 11 교육기회의 분배  299
CHAPTER 12 평생교육  301
CHAPTER 13 교직론(교사론)  305
 
PART 09 생활지도 및 상담
 
CHAPTER 01 생활지도의 이해  310
CHAPTER 02 생활지도의 내용과 활동 영역   312
CHAPTER 03 생활지도의 실제  314
CHAPTER 04 상담의 이해  317
CHAPTER 05 상담대화기법  320
CHAPTER 06 상담이론  324
CHAPTER 07 청소년 비행이론  334
 
PART 10 교육철학
 
CHAPTER 01 철학과 교육철학의 의미  338
CHAPTER 02 인식론과 교육  340
CHAPTER 03 가치론과 도덕교육론  343
CHAPTER 04 현대의 교육철학 사조  345
 
PART 11 교육의 이해
 
CHAPTER 01 교육의 이해  356
CHAPTER 02 교육의 정의  359
CHAPTER 03 교육관의 유형  361
CHAPTER 04 피터스의 교육 개념  364
CHAPTER 05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교육목적   366
CHAPTER 06 교육의 형태 분류  3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