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본 교재는 일선 경찰관의 범죄수사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범죄수사와
관련된 과거의 교재들은 단편적인 실무 내용을 담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그것이 당연시 되어왔다.
그러나 학문적 체계가 없이 단편적으로 익힌 수사방법만으로는 범죄해결에 있어서 전문적이고 과학적인
수사에 대한 기대를 충족시키기는 어렵다. 효과적인 범죄투쟁을 위해 합목적적인 조직, 첨단과학기술과
장비 그리고 최신정보시스템을 마련하는 등 새로운 범죄대응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아무리 현대적 범죄대응시스템이 구축된다고 하더라도 경험적 직관에만 의존하는 범죄수사에 머문다면
이는 마치 방향을 상실한 채 좌표 위에 서 있는 것과 같다. 근본적인 범죄대응체제는 하드웨어 격인
새로운 범죄대응시스템의 구축과 소프트웨어 격인 범죄수사에 대한 체계적인 인식들이 상호 톱니바퀴
처럼 맞물림으로써 비로소 완전하게 구축된다.
본 교재는 범죄수사에 대한 기본적 개념과 일반이론을 기본토대로 하여 수험용 교재로 제작되었다.
먼저, 범죄수사의 고유성과 그 이론적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범죄수사가 다른 학문영역과
다른 차원에서 실체적 진실발견을 발견해나가는 독특한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법률가들로 하여금 그
동안 범죄수사의 영역은 심리학, 물리, 화학 그리고 형사법 등 다양한 학문적 지식을 단순히 적용하는
영역 정도로 인식되어 왔다. 이런 인식을 벗어날 수 있도록 범죄수사의 일반이론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범죄수사학의 이론성을 정립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기존의 이론서에 소개되어 있던 내용
중에서 이론적 보편성이 결여된 내용은 과감히 삭제하였고, 법률 해석 중심의 이론과 실무에서 벗어나
범죄수사학의 학문적 독자성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또한 독자들로 하여금 기본이론에 충실할 수 있도록
범죄수사규칙 등 실무상 세부적이고 지엽적인 내용 등은 필요 최소한으로 기술하였다.
모쪼록 본 교재가 범죄수사에 대한 기본적 지식과 향후 수사경험을 체계적으로 쌓는데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2024년 3월
저자 일동

목차
제1편 서론

제1장 범죄수사학 9
제1절 본서의 체계와 내용 10
제2절 범죄수사학 15
제2장 범죄수사와 수사기관 27
제1절 범죄수사의 의의 28
제2절 수사기관 53

제2편 수사이론
제3장 범죄수사의 원리 69
제1절 범죄의 흔적 70
제2절 범죄추리 90
제3절 수사상 사건재구성의 한계 122
제4장 사건분석과 범죄자유형분석 133
제1절 사건분석 134
제2절 전문가에 의한 범죄분석 145
제3절 범죄 프로파일링(Criminal Profiling)148
제4절 수사계획의 수립 161
제5장 범죄혐의와 수사단서 165
제1절 범죄혐의 166
제2절 내 사 174
제3절 범죄혐의의 객관적 조건: 수사단서 177

제3편 과학수사
제6장 초동수사와 현장감식 191
제1절 초동수사 192
제2절 현장감식 194
제7장 과학수사와 법과학 201
제1절 과학수사와 법과학의 이해 202
제2절 과학적 지식의 활용 209
제3절 과학적 증거의 증거능력 224

제4편 수사면담과 수사심리학
제8장 수사면담 239
제1절 수사면담과 수사심리학 240
제2절 수사면담기법 248
제9장 수사심리학 291
제1절 거짓말탐지 292
제2절 수사의 정확성과 심리학 314

부록
형사법 능력평가 시험문제
[범죄수사실무] (2020~2023) 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