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저자가 쓴 서문
이 책은 편저자가 신림동에서 공인노무사 1차 시험 수험생 분들을 대상으로 기본강의를 진행한 후 ‘문제풀이 훈련’을 하기 위해 만든 자료임을 밝혀 두는 바입니다.
이 책으로 문제풀이 훈련을 진행하실 때 참고하실 유의 사항을 아래에 기재하였습니다.

이로써 머리말을 대신합니다.
1 문제를 푸는 것이 아니라 지문을 푸는 것입니다.
문제를 풀어서 맞추는 것 아니라, 각각의 지문이 맞는지 틀린지 확인해야 합니다. 특히 지문이 틀리다면 그 이유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맞는지 틀린지 알쏭 달쏭하다면 법령집(기본서)을 통해서 이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2 한 문제당 제한시간은 30초입니다.
훈련은 실전처럼 하는 것입니다. 1차 시험의 실전은 객관식 문제를 풀이하는 것이고, 2차 시험의 실전은 답안지를 작성하는 것입니다.
실전 시험에서는 사회보험법 1문제를 30초 안에 해결해야 합니다. 그래야 민법과 같은 다른과목에 시간을 더 할애할 수 있습니다.

3 문제를 풀고 난 후 반드시 기본개념을 확인하고 정리해야 합니다.
공부는 문제집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기본서(법령집)를 중심으로 해야 합니다. 문제집은 그저 기본서(법령집)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합니다. 문제풀이 훈련이 종료되면 반드시 관련된 기본개념을 따로 정리하여 ‘지식의 덩어리와 그 경계’를 확인해야 합니다.

4 기본이론을 숙지하고 문제집 2권을 각각 2회씩 풀어보는 것은, 시험을 대하는 수험생의 예의입니다. 예의를 갖추고 시험장에 입장하시길 권합니다.
도움이 되시길..

2024.02.01.
공인노무사 나진석

저자소개 : 나진석 공인노무사
[약력]
∙ 제16기 공인노무사
∙ 現 승리노무컨설팅 대표
∙ 現 합격의 법학원 공인노무사 사회보험법 전임
∙ 前 노무법인 승리 대표
∙ 前 노무법인 공감 책임노무사
∙ 前 노무법인 산재 책임노무사
[저서]
∙ 손에 잡히는 사회보험법 법령집 (2023, 에듀비)
∙ 사회보험법 조문중심 강의 (2022, 에듀비)
∙ 기출중심 사회보험법 객관식 (2024, 에듀비)

목차
PART 01 사회보장기본법
제1장 총칙: 제1조~제8조  
제2장 사회보장에 관한 국민의 권리: 제9조~제15조  
제3장 사회보장 기본계획과 사회보장위원회: 제16조~제21조  
제4장 사회보장정책의 기본방향: 제22조~제24조  
제5장 사회보장제도의 운영: 제25조~제36조  
제6장 사회보장정보의 관리: 제37조~제38조  
제7장 보칙: 제39조~제43조  
 
PART 02 고용보험법
제1장 총칙: 제1조~제12조  
제2장 피보험자의 관리: 제13조~제18조  
제3장 고용안정·직업능력개발 사업: 제19조~제36조  
제4장 실업급여 제1절 통칙: 제37조~제39조  
제4장 실업급여 제2절 구직급여: 제40조~제63조  
제4장 실업급여 제3절 취업촉진 수당: 제64조~제69조  
제4장 실업급여 제4절 자영업자인 피보험자에 대한 실업급여 적용의 특례:제69조의2~제69조의9  
제5장 육아휴직 급여 등 제1절 육아휴직 급여 및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급여: 제70조~제74조  
제5장 육아휴직 급여 등 제2절 출산전후휴가 급여 등: 제75조~제77조  
제5장의2 예술인인 피보험자에 대한 고용보험 특례: 제77조의2~제77조의5  
제5장의3 노무제공자인 피보험자에 대한 고용보험 특례: 제77조의6~제77조의10  
제6장 고용보험기금: 제78조~제86조  
제7장 심사 및 재심사청구: 제87조~제104조  
제8장 보칙: 제105조~제115조의2  
제9장 벌칙: 제116조~제118조  
 
PART 03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1장 총칙: 제1조~제9조  
제2장 근로복지공단: 제10조~제35조  
제3장 보험급여: 제36조~제91조  
제3장의2 진폐에 따른 보험급여의 특례: 제91조의2~제91조의11  
제4장 근로복지 사업: 제92조~제94조  
제5장 산업재해보상보험및예방기금: 제95조~제102조  
제6장 심사 청구 및 재심사 청구: 제103조~제111조  
제7장 보칙: 제111조의2~제126조의2  
제8장 벌칙: 제127조~제129조  
 
PART 04 국민연금법
제1장 총칙: 제1조~제5조  
제2장 국민연금가입자: 제6조~제23조  
제3장 국민연금공단: 제24조~제48조  
제4장 급여 제1절 통칙: 제49조~제60조  
제4장 급여 제2절 노령연금: 제61조~제66조  
제4장 급여 제3절 장애연금: 제67조~제71조  
제4장 급여 제4절 유족연금: 제72조~제76조  
제4장 급여 제5절 반환일시금 등: 제77조~제81조  
제4장 급여 제6절 급여 제한 등: 제82조~제86조  
제5장 비용 부담 및 연금보험료의 징수 등: 제87조~제100조의5  
제6장 국민연금기금: 제101조~제107조  
제7장 심사청구와 재심사청구: 제108조~제112조  
제8장 보칙: 제113조~제127조  
제9장 벌칙: 제128조~제132조  
 
PART 05 국민건강보험법
제1장 총칙: 제1조~제4조  
제2장 가입자: 제5조~제12조  
제3장 국민건강보험공단: 제13조~제40조  
제4장 보험급여: 제41조~제61조  
제5장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제62조~제68조  
제6장 보험료: 제69조~제86조  
제7장 이의신청 및 심판청구 등: 제87조~제90조  
제8장 보칙: 제91조~제114조의2  
제9장 벌칙: 제115조~제119조  
 
PART 06 고용보험 및 산업재해보상보험의 보험료징수 등에 관한 법률
제1장 총칙: 제1조~제4조의2  
제2장 보험관계의 성립 및 소멸: 제5조~제12조  
제3장 보험료: 제13조~제32조  
제4장 보험사무대행기관: 제33조~제37조  
제5장 보칙: 제38조~제49조의4  
제6장 벌칙: 제49조의6~제50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