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구성]
2025 합격지수 100 권지수 교육학 상
2025 합격지수 100 
권지수 교육학 하

■ 책소개
권지수의 탁월한 만점전략!

교원임용시험 교육학 논술에서 만점을 받기 위해서는 이해와 정리가 필수적으로 요구됩니다. 이 두 마리의 토끼를 모두 잡기 위해 탄생한 《2025 합격지수 100 권지수 교육학》은 교육학의 구조를 이해하고 내용별 중요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돼 있습니다. 각 분과 학문 영역별로 Thinking Map을 수록해 교육학의 구조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으며, 쟁점별로 기출사항을 표시해 출제 비중도 파악하며 학습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보다 심도있는 이해를 요하는 내용은 상세히 다루고, 빠른 이해를 요하는 내용은 간략히 다룸으로써 합리적·효율적인 학습을 꾀했습니다.

본서는 철저히 시험에서 승리하기 위해 집필되었으므로, 《2025 합격지수 100 권지수 교육학》과 함께하는 수험생들은 시간과 노력의 비용을 절감하면서 최대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 저자소개(약력)
권지수

· (現) 박문각임용 교육학논술 대표교수
· 서울대학교 대학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 교원대학교, 대구대학교, 제주대학교, 한양대학교 특강 교수
· 대검찰청 미래기획단 형사법 단원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소 연구원

<주요 저서>
- 합격지수 100 권지수 교육학 (상)
- 합격지수 100 권지수 교육학 (하)
- 권지수 교육학 핵심요약집 핵심쏙쏙
- 권지수 교육학 필수요약집 요점쏙쏙
- 권지수 교육학 문제집 논제쏙쏙


목차
<상권>
Part 01. 교육과정학

Chapter 01. 교육과정 개발
 Section 01. 교육과정 개발절차
 Section 02. 교육과정 개발모형

Chapter 02. 교육과정 유형
 Section 01. 공식적 교육과정
 Section 02. 잠재적 교육과정
 Section 03. 영 교육과정

Chapter 03. 교육과정 실제
 Section 01. 교육과정의 결정과 운영
 Section 02.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Part 02. 교육심리학

Chapter 01. 학습자의 특성
 Section 01. 학습자의 인지적 특성
 Section 02.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

Chapter 02. 학습자의 발달
 Section 01. 인지발달이론
 Section 02. 성격발달이론
 Section 03. 도덕성 발달이론
 Section 04. 사회성 발달이론과 생태학적 발달이론

Chapter 03. 학습자의 학습
 Section 01. 행동주의 학습이론
 Section 02. 사회인지 학습이론
 Section 03. 인지주의 학습이론
 Section 04. 인본주의 학습이론
 Section 05. 전이와 망각

Chapter 04. 적응과 부적응
 Section 01. 부적응
 Section 02. 적응기제


Part 03. 교수방법 및 교육공학

Chapter 01. 교육공학
 Section 01. 교육공학의 이해
 Section 02. 교수매체

Chapter 02. 교수설계
 Section 01. 교수설계모형
 Section 02. 교수설계이론

Chapter 03. 교수방법
 Section 01. 전통적 교수법
 Section 02. 교수방법의 혁신


Part 04. 교육평가

Chapter 01. 교육평가
 Section 01. 교육평가의 이해
 Section 02. 교육평가의 모형
 Section 03. 교육평가의 유형

Chapter 02. 평가도구
 Section 01. 평가도구
 Section 02. 문항분석

<하권>
Part 05. 교육행정학

Chapter 01. 교육행정의 이론
Section 01. 교육행정의 이해
Section 02. 조직론
Section 03. 지도성론
Section 04. 동기론
Section 05. 정책론

Chapter 02. 교육행정의 실제
Section 01. 교육제도
Section 02. 장학행정
Section 03. 인사행정
Section 04. 재무행정
Section 05. 학교·학급경영


Part 06. 생활지도와 상담

Chapter 01. 생활지도
Section 01. 생활지도의 이해
Section 02. 생활지도의 이론

Chapter 02. 상담활동
Section 01. 상담활동의 이해
Section 02. 상담이론


Part 07. 교육사회학

Chapter 01. 교육사회학 이론
Section 01. 교육사회학 개요
Section 02. 구교육사회학
Section 03. 신교육사회학

Chapter 02. 교육과 사회
Section 01. 교육과 사회화
Section 02. 교육과 사회평등
Section 03. 학력상승이론

Chapter 03. 평생교육과 다문화교육
Section 01. 평생교육
Section 02. 다문화교육
Section 03. 영재교육


Part 08. 교육철학

Chapter 01. 교육철학의 이해
Section 01. 교육철학의 기초
Section 02. 교육의 개념과 목적

Chapter 02. 전통 철학사상
Section 01. 관념론
Section 02. 실재론
Section 03. 프래그머티즘

Chapter 03. 현대 교육철학
Section 01. 20세기 전반의 교육철학
Section 02. 20세기 후반의 교육철학


Part 09. 교육사

Chapter 01. 서양 교육사
Section 01. 고대 교육사상
Section 02. 근대 교육사상

Chapter 02. 한국 교육사
Section 01. 고등교육기관의 이해
Section 02. 인재선발방식의 이해
Section 03. 조선 시대의 교육사상


Part 10. 교육연구
Chapter 01. 교육연구의 이해
Chapter 02. 교육연구의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