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국립외교원, 5급 공채 합격을 위한 필수 기본서!


[이런 분에게 추천합니다]
1. 최신 출제 경향이 반영된 교재로 국립외교원 및 5급 공채 시험을 준비하고 싶은 분들
2. 5급 국제정치학 관련 주요 이슈 및 최근 이슈와 기출 및 예상문제까지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싶은 분들


[해커스 교재만의 특장점]
1. 2022년 5급 국립외교원, 5급 공채 공무원 시험 대비! 국제정치학 최신 출제 경향 반영
2021년 7월까지의 시행된 5급 국제정치학 시험의 최신 출제경향 및 유형을 철저하게 분석하여 교재 내 모든 이론에 반영하였습니다. 따라서 시험에 출제되는 내용만을 효율적으로 학습하고 시험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


2. 시험에 출제되는 5급 국제정치학 이슈 총정리!
5급 국제정치학 학습에 최적화된 구성을 위하여 최근 국제정세와 관련하여 꼭 알아두어야 할 내용을 집중적으로 다루었으며, 기본 개념부터 이론과 지식을 바탕으로 분석 및 적용을 하기 위한 심화 이론까지 체계적으로 수록하였습니다.


3. 논점 추출 및 논리 전개 연습을 위한 ‘기출 및 예상문제’ 수록
고등고시 및 국립외교원 국제정치학 기출문제들과 출제가 예상되는 주요 논점들로 예상문제를 제작하여 단원 말미에 수록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학습한 이론을 응용하여 문제의 논점을 추출하고 정확한 논리를 전개하는 연습을 할 수 있습니다.


[공무원 시험 합격을 위한 해커스공무원만의 추가 학습 자료(해커스공무원 gosi.Hackers.com)]
1. 본 교재 인강(할인쿠폰 수록)
2. 공무원 국제정치학 무료 동영상강의



목차
제1편 강대국 외교정책 
제1장 미국 외교정책 
제1절 총설 
제2절 냉전기 미국 행정부의 주요 대외 정책 
제3절 탈냉전기 미국의 행정부별 주요 대외정책의 흐름 
제4절 탈냉전기 미국의 대외정책 기조와 전략 
제5절 9·11테러 이후 미국의 안보전략 
제6절 오바마 행정부의 재균형 전략 
제7절 대량살상무기 대응전략 
제8절 이란 핵문제에 대한 미국의 대응전략 
제9절 미사일방어전략(MD) 
제10절 확산방지구상(PSI) 
제11절 오바마 행정부의 신국방전략 
제12절 동아시아지역전략 
제13절 오바마 행정부의 TPP 추진 
제14절 미중경쟁과 미국의 군사전략 변화 
제15절 바이든 행정부의 안보정책과 QUAD체제 
제16절 바이든 행정부의 대중국정책 
 
제2장 중국 외교정책 
제1절 중국 정부 수립 이후 대외정책의 전개 과정 
제2절 중국의 부상 현황 
제3절 중국의 대외전략 기조 
제4절 21세기 중국의 대외전략 환경과 대외전략 
제5절 중국의 경제외교 
제6절 중국의 강대국 외교전략 
제7절 중국의 동아시아지역전략9 
제8절 중국의 한반도전략 
제9절 중국 - 대만관계(양안관계) 
제10절 중국의 대ASEAN 외교 
제11절 중국의 중동전략 
제12절 베이징 컨센서스 
제13절 일대일로(一帶一路)전략과 AIIB 창설 
제14절 아시아 신안보관 
제15절 지역경제통합전략 
제16절 중국의 5대 함정 
 
제3장 일본 외교정책 
제1절 총설 
제2절 탈냉전기 일본의 대외정책 
제3절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문제 
제4절 한일관계의 주요 쟁점 
 
제4장 러시아 외교정책 
제1절 총론 
제2절 러시아의 재부상 이후 대외정책 
제3절 구소련의 붕괴요인 
제4절 푸틴의 종신 집권체제 확립과 러시아의 
대외전략 
 
제5장 강대국 상호관계 
제1절 미국 - 중국관계 
제2절 중국 - 러시아관계 
제3절 중국 - 일본관계 
제4절 러시아 - 일본관계 
 
제2편 국제기구 
제1장 국제기구 총설 
제1절 국제기구의 정의 
제2절 국제기구에 대한 이론적 접근 
 
제2장 국제연합(UN) 
제1절 총설 
제2절 총회 
제3절 안전보장이사회 
제4절 기타 주요기관 
제5절 UN 전문기구 
제6절 UN의 국제인권 보호 활동 
제7절 UN 개혁의 쟁점과 과제 
제8절 UNPKO 
제9절 UN 관련 기타 사항 
 
제3장 지역기구 
제1절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제2절 ASEAN 
제3절 미국 및 중국의 동남아전략과 ASEAN의 
선택 
제4절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제5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제4장 비정부 간 국제기구 
제1절 총설 
제2절 환경 분야 
제3절 인권 분야 
 
제3편 국제체제 및 국제이슈 
제1장 국제체제의 전개 과정 
제1절 냉전체제 
제2절 탈냉전체제 
제3절 21세기 국제체제 
 
제2장 국제안보 
제1절 대량살상무기 확산 문제 
제2절 핵확산 
제3절 핵군축 
제4절 국제테러리즘 
제5절 우크라이나 사태 
제6절 국제보건안보 
 
제3장 국제정치경제 
제1절 세계화(Globalization) 
제2절 정보화 
제3절 국제무역질서 
제4절 도하개발아젠다협상(DDA) 
제5절 국제통화질서 
제6절 지역주의 
제7절 G20정상회의 
제8절 국제환경 문제 
제9절 기후변화 문제 
제10절 공적개발원조 
 
제4편 지역이슈 
제1장 동아시아지역 
제1절 북핵문제 
제2절 6자회담 
제3절 동아시아 해군 군비경쟁문제 
제4절 미중경쟁시대와 동북아시아지역주의 
제5절 동북아시아 다자안보 
제6절 동아시아지역주의 
제7절 ASEAN+3(APT) 
제8절 한중일 FTA 
제9절 동아시아 문화공동체 
제10절 동아시아 금융협력 
제11절 아시아 인프라투자은행(AIIB) 
제12절 아시아 - 유럽 미팅 
(ASEM: Asia-Europe Meeting) 
 
제2장 동아시아국제관계 
제1절 북미관계 
제2절 북중관계 
제3절 북일관계 
 
제3장 동아시아 영토분쟁 
제1절 독도 
제2절 센카쿠열도(조어대열도) 
제3절 북방4도 
제4절 남사군도 
 
제4장 유럽지역 
제1절 유럽연합 
제2절 EU외교정책 
 
제5편 한반도이슈 
제1장 한국의 대외정책 
제1절 우리나라의 공공외교 
제2절 안보전략 
제3절 중국의 부상과 한국의 안보 
제4절 한미동맹 
제5절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제6절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제7절 대외통상정책 
제8절 FTA 전략 
 
제2장 우리나라 주변국과의 상호관계 
제1절 한중관계 
제2절 한일관계 
 
제3장 대북정책 
제1절 건국 이후 대북정책의 전개과정 
제2절 햇볕정책 
제3절 대북 포용정책 
제4절 동북아시아 균형자론 
 
제4장 남북한관계 현안 
제1절 남북통합 
제2절 한반도 평화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