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의 특징

 

목차

CHAPTER 01 행정학의 성격과 발달과정,정체성(Identity) 논의
Ⅰ.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 ·············4
Ⅱ. 미국 행정학의 형성과 발달 과정 ······5
Ⅲ. 공(公)-사(私) 행정간 유사성과 차이성 ········16
Ⅳ. 행정학의 정체성 위기 - Blacksburg Manifesto····20
CHAPTER 02 공공가치, 행정이념,공직가치
Ⅰ. 공공가치(Public Value) ··········26
Ⅱ. 행정이념 ···········35
Ⅲ. 공직가치(Public Service Value) ····42
CHAPTER 03 행정학의 주요 접근방법
Ⅰ. 행태론적 접근(Behavioral Approach) ······46
Ⅱ. 체제론적 접근(Systems Approach) ···········48
Ⅲ. 제도론적 접근(Institutional Approach) ·······49
Ⅳ. 비판 행정학의 접근 ················56
Ⅴ. 행정환경의 복합성에 따른 접근 ·····58
CHAPTER 04 정부관: 정부의 규모와 역할
Ⅰ. 정부관의 변천 ···········66
Ⅱ. 작은 정부 ···········70
Ⅲ. 신공공관리: 작지만 ‘효율적인’ 정부 ···········73
Ⅳ. 뉴거버넌스: 적정 규모와 역할의 유연한 정부········80
Ⅴ. 한국적 맥락에서의 이해 ·········84
Ⅵ. 협력적 거버넌스와 네트워크 거버넌스 ·······86
Ⅶ. 사회적 기업(Social Enterprise) ······91
CHAPTER 05 행정환경과 공공갈등
Ⅰ. 행정환경 ············96
Ⅱ. 행정환경의 복잡성과 ‘사악한 문제(wicked problem)’········98
Ⅲ. 공공갈등(Public Conflict) ······101
Ⅳ. 정책소통 ··········103
Ⅴ. 대안적 갈등해결 방식(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105
Ⅵ. 공론화와 숙의민주주의(Deliberative Democracy) ···········108
CHAPTER 06 행정문화와 관료제
Ⅰ. 행정문화(조직문화) ················114
Ⅱ. 행정문화(조직문화)의 분석틀 ········115
Ⅲ. 관료제(Bureaucracy) ···········118
Ⅳ. 포용적 관료제 ·········125
CHAPTER 07 정책결정
Ⅰ. 정책의 개념과 유형 ···············132
Ⅱ. 윌슨(James Q. Wilson)의 규제정치이론 ··· 137
Ⅲ. 결정모형 ··········140
Ⅳ. 정책결정 참여자에 대한 주요 이론 ············147
CHAPTER 08 정책집행과 행정서비스
Ⅰ. 정책집행의 의의와 중요성 ···········158
Ⅱ. 정책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61
Ⅲ. 정책(집행)수단 ·········164
Ⅳ. 공공서비스 전달과정 ·············177
Ⅴ. 행정서비스의 전달대상 ········179
Ⅵ. 적극행정 ·········180
CHAPTER 09 조직구조론
Ⅰ. 조직시스템 ······188
Ⅱ. 조직구조 ·········189
Ⅲ. 조직구조의 유형 ·····193
Ⅳ. 조직 칸막이(silo) 현상 ··········201
Ⅴ. 협업행정 ··········204
CHAPTER 10 조직관리론 및 리더십 이론
Ⅰ. 조직이론과 인간관 ················210
Ⅱ. 현대적 조직이론 ·······215
Ⅲ. 동기부여 ···········219
Ⅳ. 동기부여이론: 내용론 vs. 과정론 ··············220
Ⅴ. 공공봉사동기(Public Service Motivation) ·· 227
Ⅵ. 리더십 ··············228
Ⅶ. 커뮤니케이션과 조직행태 ·····235
CHAPTER 11 인사행정의 제도적 기반
Ⅰ. 인사행정 ········240
Ⅱ. 엽관주의(Spoils System) ·····244
Ⅲ. 실적주의제(Merit System) ····245
Ⅳ. 직업공무원제(Career Civil Service System)·····252
Ⅴ. 고위공무원단 제도(SES: Senior Executive Service) ····259
Ⅵ. 공직의 분류제도: 계급제와 직위분류제 ······· 263
Ⅶ. 한국에서의 공직분류 ············268
CHAPTER 12 인적자원 관리활동
Ⅰ. 공공부문 인적자원관리의 의의와 필요성 ·· 272
Ⅱ. 공공부문 인적자원의 확보: 선발 ···············273
Ⅲ. 공공부문 인적자원의 개발: 교육훈련·인사이동···············274
Ⅳ. 공공부문 인적자원의 유지·활용 : 공무원의 행동과 권리 ····279
Ⅴ. 공공부문 인적자원의 평가 : 근무성적평정 ········285
Ⅵ. 공공부문 인적자원에 대한 보상: 보수 ······288
Ⅶ. 다양성 관리(Diversity Management) ········294
CHAPTER 13 예산과정론
Ⅰ. 예산의 개념과 성격 ··············300
Ⅱ. 중앙예산기관의 개념과 지위 ········304
Ⅲ. 예산의 종류 ·····305
Ⅳ. 정부예산이론 ···········308
Ⅴ. 예산과정 ··········310
Ⅴ-1. 예산안 편성 ···········311
Ⅴ-2. 예산안 심의 ·········318
Ⅴ-3. 예산안 집행 ········320
Ⅴ-4. 결산 ·············324
CHAPTER 14 예산제도론
Ⅰ. 예산제도의 발달 ······330
Ⅱ. 품목별 예산제도 ·······331
Ⅲ. 성과 예산제도 ··········333
Ⅳ. 계획 예산제도 ··········334
Ⅴ. 영기준 예산제도 ······336
Ⅵ. 성과주의 예산제도 ················337
Ⅶ. 주요 재정제도 ·········339
Ⅷ. 한국의 재정개혁 방향 ··········345
CHAPTER 15 성과관리・평가, 전자정부
Ⅰ. 공공부문 성과관리 ···············350
Ⅱ. 공공부문 성과관리제도 ········353
Ⅲ. 공공부문 성과관리의 한계와 과제 ············356
Ⅳ. 저성과자 관리 ·········358
Ⅴ. 공공부문의 성과평가제도 ····360
Ⅵ. 한국의 공공부문 성과평가제도 ····367
Ⅶ. 전자정부 ··········370
CHAPTER 16 행정책임 이론 및 체계
Ⅰ. 행정책임의 체계 ······378
Ⅱ. 행정책임 ··········380
Ⅲ. 행정통제 ··········384
Ⅳ. 공직윤리 ··········385
Ⅴ. 공직부패 ··········388
Ⅵ. 공공부문의 다양화와 책임성 ········392
부록
> 5급(행정) 공개경쟁채용 제2차시험 ············398
> 입법고시 제2차시험 ··············433
> 찾아보기 ···········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