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의 특징

건축산업의 일군에는 ‘친환경’이란 어떤 업무가 존재한다. 현재도 일정규모 이상의 건축프로젝트는 ‘친환경’ 담당자가 참여하고 있으며 사업 전 기간에 걸쳐 기획부터 준공에 이르기까지

곳곳에서 활동하고 있다. 현행 법제도에서 요구하는 기술수준과 현장기술자(감리자, 시공자)의 기술력 사이에 간극이 발생했으며 협회 등을 통한 교육으로 극복하기란 사실상 어려워 보인다.

그렇다면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이 책은 이러한 고민의 결과다. 사업관리자(CMr), 설계자, 시공 담당자들이 제 힘으로 인증을 무사히 취득하고 현장을 마무리하는데 필요한 실무지식을 전달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설계부터 인허가 취득과 현장에서 시공, 준공하기까지 알아두면 도움 될 만한 팁을 모았다. 공개된 인증기준, 평가기준 등은 내용이 너무 많아 가급적 상세하게 싣지 않았으며 실무자의 관점에서 선제적인 예방조치를 취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협회를 통한 교육으로 극복하기 힘든 현장의 일처리 방식에 꼭 필요한 실무

- 사업관리자, 설계자, 시공 담당자들의 인증 취득과 필요한 실무지식 위주의 내용

- 내용이 많아 어려운 인증기준, 평가기준 대신 시공에서 준공까지 도움이 되는 구성


저자 정보현

 

학력

∙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졸업(학사)

∙ University of Nottingham(UK) 졸업(석사)(전공:Renewable Energy and Architecture)

 

경력

∙ EAN 테크놀로지(전)

∙ ERM Korea(전)

∙ (주)건축사사무소 건원엔지니어링

∙ 다수의 국내외 인증 프로젝트

∙ 국내 최초 상용건축물 LEED NC Platinum 등급 인증

∙ 국내 최초 BREEAM 인증

 

자격

∙ 건축물에너지평가사(국토교통부)

∙ LEED AP(USGBC)

∙ 녹색건축인증전문가(G-SEED ID)


목차

01 ‘건축’과 ‘환경’

1.1. 환경, 친환경건축, 건축환경

1.2. 건축환경의 과거와 미래

1.3. 머리말을 대신하여

 

02 관련 용어

2.1. 인증과 비인증

2.2. 예비인증과 본인증

2.3. 공공기관

2.4. 녹색건축물 인센티브

2.5. 건축물에너지절약계획서(EPI)

2.6. 열손실 방지대책

2.7. 벽체의 단열

2.8. 건축재료의 불연・준불연

2.9. 창호의 단열

2.10. 열전도율, 열관류율, 평균열관류율

2.11. 방풍구조

2.12. 신재생에너지

2.13. 제로에너지빌딩(ZEB)

2.14. 기기의 효율관리제도

2.15. 장수명주택인증

2.16. 교육환경평가

2.17. 재해영향평가

2.18. 건축물에너지평가사

03 인증제도

3.1. 건축주에 따른 구분(공공기관 발주사업)

3.2. 주택법에 따른 공동주택

3.3. 지역에 따른 구분

3.4. 건축물에너지절약계획서(EPI)

3.5. 녹색건축인증

 

04 기획 및 기본설계

4.1. 건축사업의 흐름

4.2. 성능목표 확인

4.3. 일정 리스크

4.4. 사업주체별 과업범위 정리

4.5. 컨설팅 수행방식 개선

 

05 건축심의

5.1. 친환경 설계 가이드라인

5.2. 개략 공정표 작성

5.3. 예상 시뮬레이션 분석업무

 

06 인허가 접수

6.1. 벽체와 창의 단열

6.2. EPI 가이드라인 협의

6.3. 신재생에너지

6.4. 인증분야 협의

 

07 실시설계

7.1. 실시설계 주의사항

7.2. 예비인증

 

08 착공

8.1. 자료의 인수인계

8.2. 컨설팅 계약

8.3. 착수회의(Kick Off Meeting, KOM)

8.4. 착공도서 검토

8.5. 개략 친환경 공정표

09 시공단계

9.1. 상세 친환경 공정표

9.2. 준공도서

9.3. 설계변경 관리

9.4. 친환경 건축자재

9.5. 비인증 업무관리

 

10 준공단계

10.1. 준공도서 작성

10.2. 다른 필요서류

10.3. 충돌 예상 작업공정 조정

10.4. 이행검토서

 

부록 : 친환경 관련 법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