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의 특징

이번 개정판에서 내용이 변한 것은 거의 없다. 다만, 일부 문장을 수정하면서, 총론의 접근방법과 각론의 일부 내용을 별책부록으로 재구성하였다.

별책부록 형태를 취한 것은 책이 너무 두껍다는 불만을 수용하면서도 단권화된 수험사라는 이 책의 목적을 모두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행정학이라는 학문 자체가 방대하기 때문에 분량이 많을 수밖에 없다. 물론, 테마 형태를 취하는 경우 분량을 압축할 수 있겠지만, 이 경우 일부 수험서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내용 중복이 발생하거나, 별도 개론서나 각론 교과서를 보면서 추가로 정리할 필요가 생긴다.

 


별책부록에 담겨진 내용은 일부 주제를 제외하면, 출제가능성은 아주 낮지만, 처음 공부할 때 알아 두어야할 개념이나 이론(체제론, 현상학 등), 선택과목과 관련된 부분(정책학 내용과 정보체계론 내용의 일부) 들이다.

행정학 접근방법 중에서 탈실증주의와 관련된 내용은 최소한의 내용은 정리해둘 필요가 있다. 그리고, 지식정보화 사회와 전자정부/지식정부에 관한 내용도 목차 정리는 해두어야 한다.

정책학과 관련된 부분에서는 정책네트워크, 그리고 정책결정모형의 기본내용(합리모형과 점증모형)은 정리가 되어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개정판에서는 너무 어려워서 답안에서 활용도가 떨어지는 내용들은 과감하게 삭제했고, 별책 부록으로 포함시키기에 내용이 많지 않은 부분은 참고박스 처리했다.

 


행정학의 주요 관심사와 내용은 크게 바뀐 것이 없다. 하지만, 다음 주제에 대해서는 한번쯤 고민이 필요할 것이다.

(1) 공정사회 논란이 제기되면서 정의에 대한 논의가 행정학에서도 확산되었다는 것은 하나의 변화라 할 수 있겠다. 정의에 대한 논의는 현재 효율성이냐 형평성이냐 혹은 복지 포퓰리즘 담론으로 확장되면서 기존 행정학계에서 관심이 없었던 철학적인 주제까지 들어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 부분에 대해서도 일정 정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2) MB정부가 들어서면서 조직에 대한 대대적인 개편이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개편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들이 대두되면서 다시 정부조직에 대한 많은 의견들이 나오고 있다. 중앙인사기관과 중앙예산기관 문제, 그리고 기능분업과 기능통합, 집권과 분권에 대한 전통적인 논쟁과 연결시켜서 정리해둘 필요가 있을 것이다.

 


2012년 8월

강제명
 

목차